2040년 7G 시대 예측한 보고서, 보지도 듣지도 못한 "초연결 세상"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40년 7G 시대 예측’. [사진 ETRI 홈페이지 캡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진화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2040년 7G 시대 예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미래사회연구실은 ‘만물지능통신시대의 국가 ICT 신전략 방향’ 보고서에서 10년 단위로 이동통신 세대(G)가 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추세라면 2040년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7G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음성 중심의 2G에서 영상이 가능한 3G로, 그리고 최근 수년간 초고속인터넷이 가능한 4G(LTE)까지 진화했다.

2020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5G는 전산업과 전인프라에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연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물인터넷(IoT)은 물건에 인터넷을 연결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서비스다.

이어 2030~2040년 6G 시대에는 사람과 사물, 공간, 데이터,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만물지능인터넷 생활환경이 실현될 것으로 보고됐다.

특히 2040년 도래할 7G 시대에는 사람이 존재하는 공간 자체가 네트워크화 될 것으로 예측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산업과 인프라가 연결되는 조 단위의 센서로 이뤄진 만물초지성인터넷 생태계가 정착된다는 것이다.

ETRI는 이 같은 전망을 근거로 국가 ICT 전략도 ‘초연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초연결 세상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세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한 초연결 사회 구현을 위해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을 통한 ICT 융합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2040년 7G 시대를 예측한 이 보고서는 “5G와 만물인터넷 서비스를 최적으로 연계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국가 전략 영역별로 특화해 준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최적의 주파수 전략을 비롯해 디지털 위험사회에 대한 대비 등 초연결 만물지능통신기반 구축을 위한 그랜드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향후 30년 이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전망하는 이통산업의 기본축은 사람, 가전, 기계 자동차, 인프라 등의 초연결로 볼 수 있다”며 “1~3차 산업분류는 존립기반이 붕괴하고 1차 산업의 6차 산업화 등 만물지능기반산업이 모든 산업의 기본형이 될 것이다"라고 보고했다.

2040년 7G 시대를 예측한 보고서 내용이 알려지면서 4G를 이용하는 현재 모바일 이용자들의 7G 시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보고서는 "5G와 만물인터넷 서비스를 최적으로 연계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국가 전략 영역별로 특화해 준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최적의 주파수 전략을 비롯해 디지털 위험사회에 대한 대비 등 초연결 만물지능통신기반 구축을 위한 그랜드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40년 7G 시대 예측 소식을 집한 네티즌들은 “2040년 7G 시대 예측, 저게 된다면 정말 대박이네” “2040년 7G 시대 예측, 약 25년 후면 나도 50살이 넘는데…” “2040년 7G 시대 예측, 만물지능인터넷 세상?”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2040년 7G 시대 예측’. [사진 ETRI 홈페이지 캡처]

‘2040년 7G 시대 예측’ ‘2040년 7G 시대 예측’ ‘2040년 7G 시대 예측’ ‘2040년 7G 시대 예측’ ‘2040년 7G 시대 예측’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