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는 사상 최고점 앞뒀다지만…종목별로는 신통치 않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한국 증시가 사상 최고에 근접하고 있지만 정작 상장종목 10개중 7개 종목은 사상 최고점이던 1994년 11월 8일 당시 주가를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일 증권선물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326개 상장 종목을 대상으로 1994년11월8일과 지난달 31일(역사적 고점 대비 95.13%)의 종가 기준 주가를 비교한 결과다.

8월말 현재 주가가 사상 최고때보다 높은 종목은 전체의 32.2%인 105개에 불과했다. 반면 67.8%인 221개 종목은 주가가 10년 9개월전보다 낮았다. 특히 38.3%인 125개 종목은 당시 주가의 5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스닥시장의 부진은 더욱 심해 비교가능한 296개종목중 19.9%인 59개 종목만 사상 최고점 당시(2000년 3월10일)보다 주가가 높았다. 이는 최근 지수 급등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31일 현재(종가 기준) 코스닥 지수가 여전히 사상 최고(2834.00)의 17.78%에 불과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 2003년 이후 반등 추세를 보이는 세계 주요 증시 중 한국 증시의 종합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점과 대비해 가장 근접한 회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말 현재 종합주가지수는 사상 최고점 대비 회복률이 95.13%였다. 반면 미국 다우존스30지수는 89.41%, 영국 FTSE지수와 프랑스 CAC40지수는 각각 76.43%, 63.55% 회복에 그쳤다. 일본 니케이225지수는 회복율이 31.90%에 불과했고 홍콩 항셍지수와 싱가포르의 스트레이트타임스 지수도 각각 최고점 대비 81.07%, 87.96% 였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