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은행 '방긋'… 증권·유통 '글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 후 증시는 안개 속에서 빠져나온 듯 홀가분해 하는 분위기다. 기대했던 세제혜택이 무산되고, 부동자금의 증시 유입 전망도 밝지 않지만 일단 시장의 불확실성은 상당부분 해소된 듯하다. 이를 반영하듯 31일 주가는 10포인트 이상 올랐다.

정부 대책 발표후 부동산 시장 냉각으로 고전이 우려되던 건설.금융 등 관련 종목들도 비교적 큰 폭으로 뛰었다. 이날 건설업종 지수는 2.15%, 은행업종은 1.79% 각각 상승했다.

삼성증권 허문욱 연구위원은 "부동산 규제 강도가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데다 정부가 시장의 요구를 수용, 공급 확대로 정책의 가닥을 잡았다는 점에서 건설주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주택 공급을 예상보다 많이 늘리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건설업체들의 공사 물량 확보에도 숨통이 틔였다는 분석이다. 특히 비사업용 토지에 대한 투기 차단 정책이 건설업체들에겐 보다 쉽게 사업용 토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란 전망이다.

주택담보대출을 줄일 경우 자산 운용에 어려움이 예상됐던 은행업종도 생각보다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조병문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1가구2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등 부동산 대책이 특정 계층을 겨냥하고 있어 은행 대출자산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물론 관련 업종에 대한 비관론이 완전히 걷힌 것은 아니다. 대우증권 이창근 연구위원은 "분양권 전매 강화 및 주택담보대출 강화 정책은 주택 건설 위주의 비그룹 중소형 건설사들에겐 영업 환경의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증권.유통.보험 등 내수 관련주들은 여전히 부동산 경착륙 시나리오를 경계하고 있다. 만에 하나 부동산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기라도 할 경우 소비 위축 등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한화증권은 이날 1977년 이후 정부에서 18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이후 증시는 중장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때가 더 많았다고 분석했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