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명단 3090명 발표] 후손·시민단체 반응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거명된 당사자의 후손들은 대체로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선친 박정희 전 대통령이 포함된 것과 관련, "(명단을 발표한 사람들은) 원래 그런 사람들 아닌가. 거기에 대해 특별히 할 말은 없다. 국민과 역사가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사람들도 언젠가는 자신들이 저지른 왜곡에 대해서도 평가받을 날이 있지 않겠느냐"며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한국화가 월전 장우성(1912~2005) 화백의 아들 학구(65)씨는 "부친의 친일행적 근거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며 억울한 심정을 피력했다. 월전미술문화재단 이사장인 그는"일제시대 화가로 입문하기 위해 상을 받고 활동을 했을 뿐인데 그것마저 친일이라고 한다면 할 말이 없다. 우리 집안은 물론 아버지도 창씨개명을 한 적조차 없다"고 말했다.

명단에 설립자(김성수)나 초대 총장(김활란) 등이 포함된 고대와 이대는 이번 발표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시민단체와 학계 등은 '늦었지만 잘한 일'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는 부정적 시각이 엇갈렸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윤순철 정책실장은 "해방 이후 60년이 흘렀음에도 사실 규명 자체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며 환영했다. 흥사단 조직부 오평석 간사도 "합리적"이라고 평가하고 "당시 사람들의 삶의 현장에서 직접적 피해를 주었던 이들이 빠진 것은 앞으로 짚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자유시민연대 반핵반김국민협의회 김구부 사무총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육군 중위 시절 얼마나 친일행위를 했는지는 모르지만 이후 대통령이 된 뒤에 성취한 경제발전의 공로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비판했다.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홍진표 정책실장도 "공직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친일파로 분류한 것은 기계적인 접근"이라며 "이들이 어떤 친일 활동을 했는지 명확히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친일 인사로 규정한 것은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배영대 기자,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