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언 "비장한 각오로 회고록 내…누구 비난 목적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회고록을 국정원의 불법도청 테이프에 비유하는 것은 천부당 만부당한 일이다."

박철언 전 의원(현 한반도통일문화재단 이사장)이 최근 출간된 자신의 회고록과 관련된 논란에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박 전 의원측은 22일 인터넷중앙일보에 게재된 허화평 전 의원의 회고록 비판 인터뷰를 반박하는 내용의 글을 보내왔다.

박 전 의원측은 이 반박문에서"회고록을 집필한 이유는 우리 정치와 국가운영이 보다 깨끗하고 투명해지기 위해서는 그 시대 현장에 있었던 누군가가 생생한 그 현장의 기록과 증언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결코 특정인을 폄하하거나 비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80년대 권력 핵심'이라는 경험을 공유한 허 전 의원이"박철언은 5.6공에 책임이 있는 인물이지 그때 일을 비판하고 나설 사람이 아니다"라고 비판한에 대한 대한 해명이다.

박 전 의원 측은 또 "재직 중 얻은 비밀은 죽을때까지 가져가는 것","전직 대통령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는 허 전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도 다른 시각을 보였다. 박 전 의원의 황태순 공보특보는"네 분의 전직 대통령을 비롯해 많은 분들이 섭섭해 할 수 있고 멀어질 수도 있지만 회고록을 출판한 것은 바른 증언을 남기겠다는 비장한 각오로 용기를 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고록 내용의 사실 여부에 대한 주장도 엇갈린다.

허 전 의원은 인터뷰에서 전두환 국보위 위원장이'럭키 7'을 언급하며 대통령 임기를 7년으로 관철시켰다는 회고록 내용 등을 "과장이며 희화화"라고 부인했다. 그러면서"박 전 의원은 당시 전두환 위원장 근방에도 접근하지 못한 주니어였는데 어떻게 알 수 있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박 전 의원측은"당시 국보위 법사위원으로 우병규 법사위원과 함께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의 호출을 받고 들어가 직접 겪은 일"이라며 "다이어리에 남아 있는 그대로 기술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전 의원측은 특히 회고록을 국정원의 불법도청 테이프에 비유하는데 대해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다. 황 특보는"이른바'X파일'이 국가기관이 범죄적 방법으로 도감청한 자료를 전직 직원이 사적인 목적으로 악용한'범죄장부'라면, 박 이사장의 회고록은 공직수행을 하면서 있었던 공무수행과정을 국민의 알 권리에 부응해 공개하는'공무수행일지'"라며 "이를 연계하는 것은 천부당 만부당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 의원측은 회고록 출간 계기와 관련해 시중에'정치복귀론','특정인 폄하'등의 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서도 "오해일 뿐"이라며 이를 일축하고 있다.

박 전 의원측은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박 전 장관은 완전히 정치현장을 떠났으며 혹시 티끌만큼이라도 정치복귀의 뜻이 있었더라면 이번 회고록은 절대 쓰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