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비례대표 축소” … 원혜영 “오히려 늘려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오른쪽)과 원혜영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 실천위원장이 정치개혁 토론회에서 설전 뒤 어색한 표정을 짓고 있다. [김형수 기자]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비례대표를 줄여 농촌지역 선거구를 살려야 한다. 국민이 직접 대표를 뽑아야 책임감이 강한 국회의원이 나온다.”

 ▶원혜영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장=“강남 사는 농촌지역 의원들이 진정 농촌의 이해를 대변하나. 각 계층을 대변할 비례대표가 확대돼야 한다.”

 여야의 ‘혁신사령탑’이 12일 설전을 벌였다.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개최한 4당 정책토론회에서다. 김 위원장은 헌법재판소가 지역구 최대 인구편차를 현행 3대 1에서 2대 1로 바꾸라고 한 데 대해 “비례대표를 줄여 농촌지역의 대표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거듭했다. 원 위원장은 “농촌을 비롯한 약자의 대표성을 살리는 핵심은 비례대표제 강화”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의당 심상정(당 정치똑바로특별위원장)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정수(定數)를 늘리고 절반은 비례대표로 해야 한다”며 의원 정수와 비례대표의 동시 확대를 주장했다. 오병윤 통합진보당 원내대표도 “비례대표를 늘려야 한다”고 거들었다.

 선거구제 개편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이 달랐다. 김 위원장은 “소선거구제는 1987년 우리 국민이 쟁취한 민주화의 성과로 잘 정착돼 있다”며 한 지역구에서 한 명씩 뽑는 소선거구제 유지에 무게를 실었다. 반면 원 위원장은 “대도시지역엔 (한 구당 2인 이상을 뽑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해 지역주의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선진화법을 두고서도 두 사람은 대립했다.

 ▶김 위원장=“국회선진화법을 만든 이유는 동물국회를 막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정작 법을 만들고 나니 식물국회가 됐다. 새로운 개정이 필요하다.”

 ▶원 위원장=“올해 예산안이 헌법이 정한 시한(12월 2일)에 처리되는 것도 선진화법 때문 아니냐.”

 다만 국회의원 공천 시 완전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데 대해선 김·원 위원장 모두 긍정적이었다. 김 위원장은 “(오픈 프라이머리가 도입되면) 후보자들이 유력 공천권자에게 ‘줄대기’를 하는 게 아니라 지역주민들에게 가서 자신을 알리고 줄을 대는 국민 지향의 정치활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원 위원장도 “낙하산식 공천, 당권을 잡은 사람이 엿장수 맘대로 하는 걸 막는 게 중요하다”며 “그런 점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야말로 상향식 공천에서 제일 중요한 과제”라고 했다.

글=이가영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