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아파트 경매시장도 썰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8월 말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를 앞두고 서울 강남권.용인 등지에선 기존 아파트에 이어 법원 부동산 경매시장 열기도 한풀 꺾였다. 이달 들어 입찰에 부쳐진 아파트의 경우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이 떨어지고 입찰 참여자도 줄었다.

19일 부동산 경매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이날 현재 서울 강남구 아파트 낙찰가율은 평균 94.4%로 지난달(103.9%)에 비해 낮아졌고, 낙찰률(경매 건수 대비 낙찰 건수)도 28.6%로 전달(65.2%)보다 급락했다. 지난달엔 10건의 경매 물건 가운데 6건 이상이 주인을 찾아갔지만 이달엔 3건 미만으로 줄어든 것이다.


특히 서울 송파구는 잠실 재건축 아파트값의 급등 여파로 지난달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104.1%를 기록했지만 이달엔 83.2%로 뚝 떨어졌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으면 감정가격보다 비싼 값에 낙찰했다는 뜻이다.

경기도 용인도 지난달 아파트 낙찰가율이 104.1%를 보일 정도로 열기를 뿜었지만 이달엔 92.6%로 내려갔고, 낙찰률도 지난달 63.6%에서 이달엔 43.5%로 주저앉았다. 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 이명숙 사장은 "강남과 분당 등지는 올 들어 집값이 뛰면서 법원 부동산 경매에서도 감정가를 웃도는 고가 낙찰이 속출했으나 8월 대책 발표를 보고 경매에 참여하겠다는 쪽으로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고 전했다.

입찰 참여자도 줄었다. 12일 경매에 나온 서울 강남구 일원동 수서아파트 18평형과 송파구 거여동 미주아파트 21평형에는 2명만 참여했고, 강남구 개포동 대치아파트 21평형에는 9명이 입찰서를 냈다. 강남권 아파트는 한 달 전만 해도 보통 30~50명이 경매에 참여했다.

입찰 때마다 20명 이상이 몰리던 용인도 지난 5일 입찰에 부쳐진 용인시 구성읍 동일하이빌 35평형에는 4명만 참여했다.

낙찰하고도 잔금을 제때 마련하지 못해 고민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지난달 30일 주택투기지역 아파트에 대한 담보대출 제한 조치 때문이다. 낙찰 전 투기지역에서 이미 대출받은 경우 경락 잔금을 빌리기 어려워진 탓이다. 경매업계에선 담보대출 제한을 전후해 낙찰한 경우 잔금 납부를 포기하는 일도 있다고 전한다. 법무법인 산하 강은현 실장은 "8월 대책의 주요 대상 지역이 서울 강남권과 분당.용인 등 판교 주변이 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이들 지역 법원 부동산 경매시장도 안정세를 보일 것 같다"고 말했다.

성종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