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자회담 형식 변경 시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부가 4차 6자회담 재개를 공식 발표하며 회담의 형식을 바꾸겠다고 시사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미 많은 얘기를 해 왔다"고 했다. 여기엔 6자회담이 성과 없이 차기 회담 날짜를 잡는 데만 급급하는 모양새로 가서는 안 된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 지난 세 차례의 6자회담은 '대회의장 회담'이었다. 6개국 수석대표를 포함한 대표단 100여 명이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의 대형 홀에 들어가 각자의 입장을 발표했다. 그래서 회담이 서로의 차이를 '그냥 듣는' 자리는 됐어도 '좁히는' 자리로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6자회담이 결론 없이 늘어지자 북한이 핵을 개발하고 비축하는 시간을 버는 데 회담을 이용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 6자회담 차석대표인 조태용 북핵외교기획단장은 5월 "6자회담이 재개되면 전체회의만이 아니라 소그룹별 회의도 열 필요가 있다"며 "수석대표끼리도 (결론이 날 때까지 회의를 계속하는) 교황선출 방식으로 협상을 해야 한다"고 했다. 실무 접촉에도 힘을 실어줘 실질적인 조율을 계속하고, 이를 토대로 수석대표 회담도 크건 작건 성과를 만들어 내자는 것이다. 외교부에선 장관급 접촉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거의 매주 3개 소그룹별로 회의를 열어 협상을 계속 끌고 나가는 독일.영국.프랑스 및 이란 사이의 핵 회담 방식도 거론되고 있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