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내버스 '준공영제'시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 염홍철 대전시장(오른쪽에서 두번째) 등 관계자들이 4일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열린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승식에 참석, 버스에 오르고 있다. [연합]

4일부터 대전에서 시내버스 타기가 편리해졌다. 서울시에 이어 전국 도시 중 두번째로 대전시가 이날부터 '시내버스 준(準)공영제'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준공영제는 선진국 일부 대도시에서 시행중인 공영제(정부나 자치단체가 버스를 운영하는 것)와 기존 민영제(민간업체가 버스를 운영하는 것)의 중간 형태다. 승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버스업계의 경영 안정을 꾀하기 위해 운행은 업체가 맡고 운행 계획 수립과 실적 관리, 운송 수입금 관리는 대전시가 맡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와 13개 버스업체는 지난달 28일 '노.사.정 협약'을 맺었다.

◆무료 환승제 전면 도입=전체 승차 시간이 60분(외곽 노선은 80분)이내일 경우 요금을 한 번만 내면 등급이 같거나 낮은 버스를 1회에 한해 갈아탈 수 있다. 목적지까지 가는 버스가 없을 경우 편리한 곳 아무데서나 갈아타면 된다.

단, 교통카드를 사용할 때만 가능하다. 입석에서 좌석으로 갈아탈 때에는 450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

승차 시간 80분이 적용되는 외곽 노선이 39개(220-1, 220-2, 510-2, 132, 160, 161, 162 등)이며, 나머지 노선은 모두 60분이다.

◆버스 서비스 개선=지금까지는 '공동 배차제'가 적용돼 같은 노선이라도 매일 운행업체가 달랐다. 그러나 이날부터는 각 버스업체가 1~2년 기한으로 개별 노선을 담당, 서비스의 질이 높아진다.

손님이 적다는 이유로 정류장을 서지 않고 통과하는 버스도 사라질 전망이다. 무정차 통과 시 시가 해당 업체에 대해 버스운송 원가를 줄여서 지급하고, 행정 처벌도 강화하기 때문이다. 지능형 교통시스템(ITS)과 교통카드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확인됨에 따라 배차 간격의 불규칙성도 개선된다.

시가 관리 요원 16명을 채용, 매일 버스회사에 파견해 수입금을 확인함에 따라 업체들의 수입금 관리 또한 투명해진다.

◆첫날 표정=한편 준공영제 시행 첫날 대전시청에는 평소와 달리 버스가 정류장에 서지 않고 통과했다는 신고가 한 건도 접수되지 않는 등 버스 서비스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승객은 교통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채 무료 환승을 하려다가 운전 기사들과 말다툼을 벌이는 등 아직 홍보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제=그러나 대부분의 버스업체가 적자 운영을 하는 상태에서 결국 업체들의 경영 적자는 불특정 다수 시민이 부담해야 한다.

현재 13개 업체가 965대의 버스를 운영, 영세성이 높기 때문에 업체 간 통폐합을 통한 비용 절감 등이 뒤따르지 않는 한 만성적인 적자 운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내년 3월이면 지하철 1호선 1단계 구간(판암동~정부청사.총연장 12㎞)이 개통될 예정이어서 버스 승객은 더욱 줄어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