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국화로 불리는 구절초, 여성 질병 약재로 효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캡처]

 
가을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절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구절초란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산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꽃이다. ‘울릉국화’, ‘낙동구절초’, ‘포천구절초’, ‘서흥구절초’, ‘남구절초’, ‘한라구절초’ 등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종류가 30여 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절초는 흔히 ‘들국화’라고 불린다. 10월부터 11월까지 절정이고 이 시기에 열매를 맺기도 한다.

꽃의 키는 최대 1m까지 자라고 꽃의 크기는 8cm 내외다. 구절초를 집에서 가꾸는 경우 화단이나 화분에 심고 바람이 잘 통하게 해야 한다. 특히 물은 1~2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구절초는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다. 또한 예로부터 월경 불순과 자궁 냉증, 불임증 등의 여성용 질병에 약재로 쓰여 왔다. 구절초와 비슷한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등도 민간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