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포정리 환영받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사회질서는 계엄군이 주도했다. 「뭔가는 달라져야 한다」ㄴ는 표본으로서 깡패소탕·거리질서확립은 국민의 피부에 생생히 와 닿는 일들이었다.
김재춘씨 (최고위원·군검?합동수사본부장·중정부장)의 회고.
『나는 서울일원의 계엄업무를 맡았읍니다.
당장 뭔가를 보여주기 위해 교롱정리를 직접 하기도 했습니다. 단번에 호응이 있더군요. 합동수사본부는 ××에 본부를 두고 전국에서 붙잡힌 사회사범들에 대한 심사를 했는데 4천여명 중 5백여명만 남기고 나머지는 훈방조처했습니다. 깡패소탕외에도 매점매석·음식점의 잡곡혼식이행여부 등 사회구석구석의 모든일을 파헤쳤읍니다.
매점매식을 단속할 때데톄 실무자들이 매점한 물건을 압수해다가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줬지요. 물의가 일자 장도영 의장이 불러<잘하는 일이라도 자본주의 국가인데 법대로 처리해야한다>고 해 중지시킨 일도 있읍니다. 이 같은 일련의 조치는 따로 계획했다기 보다는 눈에 보이는 것을 닥치는 대로 했다는 표현이 적당할 것 같습니다]
박치옥씨 (전 최고위원·공수단장)의 얘기.
『깡패소탕을 맡은 한신내무장관이 지원을 요청해 왔습니다. 일부 부패경찰이 저들과 손이 닿아있어 제대로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때 붙잡아온 깡패들을 덕수궁 뒤뜰에서 조사했는데 그뒤편의 외국대사관저로 부터 밤에는 삼가 달라는 부탁을 받기도 했읍니다.
군임무외에는 잘 몰랐기 때문에 진정서를 가져오는 사람은 무조건 선한 약자로 간주하는 일도 있었지요. H대 K총장에 관한 불미스런 내용의 진정사건도 이때 일입니다. 또 대상자가 많다보니 동명이인이 불려온적적도 있어 웃지 못할 일도 있었지요. 그러나 용공세력 등의 처리는 최고회의간부들도 모르는 사이에 결정되고 집행되었다. 최고회의 공안분과위원장이던 한웅력 춘장, 최고위원 유원식 대령, 당시 치안국장이던 조흥만 씨등 모두가 한결같이 이들 정치사안은 최고회의 밖에서 결정돼 당시도 그후도 그에대해 아는바 없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