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내무반, 이병·병장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육군이 병사 계급체계를 4단계(이병-일병-상병-병장)에서 사실상 2단계(일병-상병)로 줄이는 안을 추진한다.

 김요환 육군참모총장은 14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병사들의 계급체계 변경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육군 관계자는 “훈련소에서 신병교육(5주)을 마치면 바로 일병 계급장을 달아주고, 병장 계급은 상병 가운데 우수인력만 분대장으로 뽑아 임명하는 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육군의 계획대로라면 현재는 신병훈련소를 퇴소한 뒤 이병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이병 계급은 사라지게 된다. 또 분대장은 전체 병장·상병의 4.5%에 불과해 대부분의 병사가 상병 계급으로 군 복무를 마치게 될 전망이다. 병사의 계급별 복무기간도 달라진다. 지금은 모든 병사가 이병 3개월, 일병 7개월, 상병 7개월, 병장 4개월씩 복무하지만 이 안이 확정되면 분대장이 아닌 병사는 신병 훈련기간을 제외하고 일병으로 10개월, 상병으로 10개월 정도 복무해야 한다. 다만 육군은 전역일에는 모든 병사에게 병장 계급장을 달아줘 21개월간 군생활을 마치면 예비역 병장이 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육군은 12월까지 검토를 끝내고 국방부에 법령 개정을 건의할 예정이다. 계급체계 변경이 확정되면 1954년 시작된 4계급 체계가 60년 만에 바뀌게 된다.

 육군이 계급체계를 변경하려는 이유는 윤 일병 사건 등 군내 폭력사건이 병영 내 서열문화에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급구조를 바꿔도 같은 계급 내에서 ‘호봉’으로 서열을 정할 수 있다는 지적이 군 일각에선 나오고 있다.

계룡대=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