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유전체사업 특정업체 몰아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건복지부가 유전체 사업을 벌이면서 최하위 평가 업체에 연구용역을 몰아주는 특혜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은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받는 자료를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올해 질병본부로부터 45억원을 받아 '포스트 게놈 다부처 유전체' 연구 사업을 진행한 '마크로젠'(16억원) 과 '디엔에이링크'(25억원)는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이 진행한 '유전자검사기관 평가'에서 186개 기관 중 최하위 평가를 받은 기관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연구 용역을 심사한 위원과 해당 유전자검사 업체의 대표, 질병본부 유전체센터장 등이 한국생물정보시스템 생물학회의 이사이거나 특별고문"이라는 특수관계를 지적했다. 또한 "양병국 질병본부장이 2001년부터 마크로젠 주식 60주(시가 약 300만원)를 보유했으며 마크로젠 책임연구원 중 2명은 유전체사업을 총괄해온 질병관리본부 바이오과학정보과와 형질연구팀의 연구원이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복지부와 질병본부는 유전체사업 연구용역 116개, 254억6000만원을 민간업체에 위탁했다. 문제의 두 업체는 14개 사업, 95억1000만원을 위탁받아 전체 용역사업 규모의 73%를 차지했다.

김 의원은 "감사원이 나서 복지부와 질병본부가 이익단체 업자와 뭉쳐 공공부문 일감을 독점하는 문제점을 사업별로 철저히 감사하고 재발방지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미 기자 cre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