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는 거짓말쟁이? 작년 국감서 약속한 계획 미수립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보건복지부가 작년 국감서 수립을 약속한 7개 종합계획 중 5개를 여전히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은 "복지부가 지난 국정감사에서 지적받은 미수립 7개 주요 보건복지 분야 종합계획 중 5개를 여전히 방기하고 있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보건복지 정책의 이행을 위한 기본 계획 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복지부가 미수립한 5개 종합계획은 보건의료 발전계획,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 아동정책 기본계획, 빈곤아동의 복지?교육?문화 등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 천연물신약연구계발 촉진계획 등이다.

당시 국정감사에서 문정림 의원은 복지부가 수립할 법적 의무가 있는 30개의 종합계획 중 7개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음을 지적한 바 있다.

복지부는 이들 7개 계획에 대하여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일 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건의료정책관 소관의 보건의료발전계획은 의료발전의 기본 목표와 그 추진 방향, 주요 보건의료사업계획 및 그 추진 방향, 자원의 조달 및 관리 등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의 기본 틀과 원칙을 제시하는 기본과 핵심이 되는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수립 계획조차 갖고 있지 않은 실정이라는 것.

인구아동정책관 소관의 아동정책기본계획, 빈곤아동의 복지- 교육-문화 등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 등 인구아동정책관 2개 계획에 대해 복지부는 당초 지난 연말까지 수립을 완료하겠다고 했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고 또 다시 올 연말까지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보건산업정책국 소관의 천연물신약연구계발촉진계획과 공공의료정책관 소관의 공공보건의료기본계획에 대해 복지부는 올해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약속 한 바 있으나 천연물신약연구계발촉진계획의 경우 현재까지 추진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공공보건의료기본계획의 경우 11월까지 연구용역을 진행하여 연내에 수립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졸속계획의 수립-시행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문정림 의원은 “복지부가 법률과 입법부를 가볍게 보고 있는 것”이라며 “무엇보다 기본계획이 없는 정책 추진은 정책의 방향과 효과를 도모할 수 없고, 단기적으로 문제를 졸속 해결 할 가능성이 있다. 인력과 예산의 낭비가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기기사]

·식약처 "사지마비 유발 샴푸 위해평가 진행" [2014/10/13] 
·상처 치료하는 표피성장인자로 탈모 치료 가능성 제시 [2014/10/13] 
·소염진통제 디클로페낙 심혈관 부작용 위험 높여 [2014/10/13] 
·"의약품 통합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 …아시아 5대 제약사로 도약할 것" [2014/10/13] 
·No.310 "복제약이 어때서? 아시아 5대 제약사로 도약할 것" [2014/10/13]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