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파라벤 치약'논란에 "제출 자료에 실수 있어"…얼마나 유해한지 보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사진 Y뉴스 방송 캡처]

 
지난 5일 식약처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쓰인 식약처 측 자료에 제출자의 실수가 있다고 밝혔다.

해당 자료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치약 60% 이상이 국내외 연구서 인체유해성분 판정을 받은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제품이라고 기록돼 논란이 일었다.

식약처는 “현재 국내 유통 중인 치약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며 “치약의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의 경우 함량기준을 0.2%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EU, 일본(0.4% 이하), 미국(기준없음) 등과 비교해 국제적으로 가장 엄격하다”고 해명했다.

이어 “다만 현재까지 허가된 치약제품 1300여 품목의 자료를 김 의원실에 제출하면서 그 중 2개 품목에 대해 파라벤 함량을 잘못 기재해 결과적으로 일부 언론서 ‘파라벤 기준을 초과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희대 치과대학 박용덕 교수는 6일 파라벤 치약 논란에 대해 “(파라벤은) 국내에서는 0.2%인지 몰라도 유럽 같은 경우에는 거의 쓰지 않는 추세로 가고 있다”며 “특히 미국 같은 경우에는 파라벤이 무해하다는 걸 증명할 경우에만 사용을 허가하는 엄격한 잣대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은 암 발병률을 높이거나 각종 호르몬 분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 인체 유해 논란이 일고 있는 물질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파라벤 치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