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시내버스 파업 확산 조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 삼성교통버스가 운행을 중단하자 차에서 내린 승객들이 우왕좌왕하고 있다.

경남도내 시내버스의 파업이 확산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진주시내 버스인 ㈜삼성교통 노조가 지난 20일부터 나흘째 파업을 벌이고 있으며 마산.창원 시내버스 파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삼성교통 노조는 20일 오후 3시30분부터 90대의 버스운행을 갑자기 중단,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있다.

노조원들이 운행하던 버스를 세우고 승객들에게 요금을 돌려준 뒤 차고지로 돌아갔다. 노조는 ▶시내버스 완전 공영제 ▶체불임금 12억원 지급 ▶조합원 퇴직금 40억원(185명분)에 대한 담보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삼성교통 경영진을 처벌한 뒤 사업면허를 취소하고 완전공영제로 전환하라"며 "공영제가 어렵다면 체불임금과 퇴직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조에 사업면허를 내달라"고 요구했다.

회사측은 노조의 파업이 불법이라며 간부 7명을 업무방해 협의로 고발했다. 박성철 사장은 23일 "파업을 계속하면 회사경영이 어려워지므로 노조가 버스운행을 먼저 정상화한 뒤 협상을 하자"고 제의했다.

진주시는 신일.부산교통 버스 35대를 삼성교통 버스 노선에 투입하고 관광버스 11대를 읍.면 등 외곽노선에 배치했다.

그러나 버스운행 간격이 늘어나는데다 대체 투입된 전세버스는 전자화폐 결제가 되지 않아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마산.창원지역 8개 시내버스 노조도 노사간 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로 24일부터 파업 찬반투표에 들어갔다. 8개사 노조는 조합원 1300여명이 참가한 투표에서 파업안이 통과될 경우 다음달 1일부터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지난 3월부터 진행된 협상에서 노조는 임금 14.5% 인상, 정년 연장, 하계 수련비 5만원 인상, 휴가 연장 등을 요구했으나 회사측은 임금 동결, 상여금 100% 삭감 등으로 맞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25일로 예정된 지방노동위원회의 2차 조정이 실패할 경우 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파업이 강행될 경우 다음달 1일부터 시행 예정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마산.창원시는 버스전용차로제,마산~창원간 직행버스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안을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