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계 각국 소비자 구매 기준, 공통적으로 ‘이것’ 따진다? 예상 밖인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스마트시계 구매 기준’[사진 GFK 홈페이지]

스마트시계를 사려는 각국 소비자들의 구매 기준은 무엇일까. 최근 독일 시장조사업체 GFK는 8월 한 달간 한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중국, 독일 등 5개 국가의 스마트폰 사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계 구매 기준과 이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중국을 제외한 4개 국가에서 ‘가격’을 스마트시계 구매 기준 1순위로 꼽았다. 영국, 미국, 독일의 경우 2~3위는 ‘기능성’, ‘운동량 측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사용 편의성’, ‘운동량 측정’ 순으로 구매 기준을 내세웠다. 한국 소비자들은 다양한 기능보다는 얼마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지를 우선시하는 셈이다.

중국의 경우는 달랐다. 중국인들은 스마트시계의 가장 중요한 구매 기준으로 ‘정확도(Accuracy)’를 꼽았다. 이어 ‘운동량 측정’과 함께 ‘브랜드(Brand)’를 지목했다. 중국인들은 어느 상품이든 브랜드를 선호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스마트시계를 사용하려는 이유에 대해선 5개국 모두 ‘운동량 측정’을 언급했다. 시중의 스마트시계 가운데 삼성전자 ‘기어S’, LG전자 ‘G워치R’, 애플 ‘애플워치’, 모토로라 ‘모토360’ 등 대부분이 운동량 측정 기능을 담고 있다. ‘웰빙’이 중요시되면서 이런 관점에서 스마트시계를 구매하려는 이들도 동시에 늘고 있는 것이다. 과거 만보계 등은 걸음수만 잴 수 있었으나 스마트시계에는 GPS, 심박수 체크 등 기능들이 추가됐다. 스마트시계의 구매 기준으로 주요국들이 ‘운동량 측정’을 든 것을 보면 전세계적으로 건강 열풍이 불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스마트시계 구매 기준’. [사진 GFK 홈페이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