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스판덱스 세계 1위, 자동차 소재 사업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효성이 고객들에게 스판덱스(신축성 원사) 크레오라를 넣어 제작한 원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스판덱스는 수영복 등에 주로 사용되는 재질로 효성은 이 분야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다. [사진 효성]

세계인 10명 중 4명 이상이 효성이 만든 타이어 핵심 소재(타이어코드)를 사용한다. 10명 중 3명이 사용하는 신축성 원사(스판덱스)를 만드는 것도 효성이다. 안전벨트용 원사, 에어백용 직물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위다. 보이지 않지만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회사인 셈이다.

효성은 수출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글로벌 회사다. 전세계 70여곳에 제조·판매법인을 두고있다.

특히 스판덱스 분야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로 한국과 중국 가흥·주해·광동, 터키, 베트남, 브라질에 현지 생산공장을 두고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브라질은 현지 생산체제를 구축한지 2년 만에 시장 점유율 50%를 넘어 브라질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효성은 올해 초 스판덱스 브랜드 크레오라는 기능성을 강조한 서브브랜드를 발표했다. 내염소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수영복에 이용되는 ‘크레오라 하이클로’를 비롯해 신축성을 강화한 크레오라 컴포트, 크레오라 파워핏 등 총 10개의 크레오라 서브브랜드를 발표해 글로벌 시장에 나섰다. 올 하반기에는 서브 브랜드를 가지고 상하이 인터텍스타일, 인터필리에르 파리 및 상하이 전시회에 참가해 글로벌 신규 고객들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자동차 안전 관련 제품도 대부분 효성의 손을 거친다. 안전벨트, 에어백, 타이어코드, 차체프레임 등에 사용되는 각종 원단과 소재들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타이어의 내구성과 주행성, 안정성을 책임지는 효성의 타이어코드는 이미 세계시장에서 인정받은 제품이다. 특히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분야에서 효성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45%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효성은 시트벨트용 원사, 에어백용 원단 분야에서도 세계 1위의 위치에 있다. 여기에 최근 자체 개발에 성공한 탄소섬유와 폴리케톤 등 신소재가 자동차의 차체 프레임, 사이드 패널 등 내·외장재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효성 관계자는 “신소재를 바탕으로 향후 자동차 소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윤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