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기능인의 대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자원빈국인 우리나라가 날로 격심해지는 국제경쟁에서 살아남을수 있는 유일한 길은 과학기술의 개발과 혁신이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하기위해서는 기술.기능인구의 꾸준한 저변확대가 있어야한다.
따라서 과학교육.기술교육의 중요성이 요즘처럼 강조되고 있는 때도 없었다. 그런데도 대학입시에 있어서 인문.사회계열의 선호경향은 여전하고 기술기능인에 대한 사회일반의 인식 또한 그다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런 경향은 정부의 인사처리에서조차 예외가 아니다.
최근 체신부는 전기통신공사의 발족을 앞두고 공무원들의 직위분류를 하면서 기능직공무원을 일반직공무원보다 불리하게 조정했다해서 말썽을 일으키고 있다.
기능인을 우대하는 풍조를 정착시키는데 앞장서야할 정부 스스로가 이런 결정을 내렸다는 것은 그 경위나 이유가 어디있건 유감스런 일이다.
한나라가 정상적으로 발전하려면 모든 분야가 어느쪽에 치우치거나 기울어짐이 없이 균형있게 발전해야 한다. 기술.기능인을 다른 분야의 사람보다 특별이 우대는 못할망정 소홀이 취급되거나 차별을 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대하교육에서 자연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차츰 높아지고 있다. 76년도까지 45대55로 인문.사회계가 높았던 것이 81년도 들어서는 역전되어 자연계가 55%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내년도의 입학정원 조정에서는 56대44로 자연계의 비중은 더욱 높아진다.
우리나라가 고도산업사회를 이룩하려면 자연계대학생과 인문.사회계대학생의 비율은 적어도 6대4가 되어야 한다는게 교육전문가의 견해다.
고급기술인력의 산실로서 이공계대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긴 하지만 그들을 충실하게 교육시킬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데는 문제가 있다.
더욱 많은 고급기술인력을 배출하려면 양적확충 못지않게 질적 충실화가 중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런데 79년의 조사결과를 보면 국내 36개공과대학은 모두 교수부족으로 허덕이고 있으며 교수.대학생의 비율은 선진국의 절반수준인 1대43.6명에 불과했다.
뿐만아니라 실험.실습시설은 규정의 32.7%밖에 안되고 학생1인당 교육경상비는 선진국의 10분의 1에 불과했다.
이런 실정에서 명실상부한 고대교육을 바라보기는 어렵다는 우려가 있던터에 「7.30」교육개혁으로 대학생정원이 늘어남으로써 교육여건은 한층 악화되고 말았다.
기술.기능을 소홀히 여기는 풍조가 아직 남아있는데다 이공계대학생의 증원이 계속되는데 비해 실험.실습시설투자는 제대로 되지않는 형편이라서 각 대학이 허술한 이론위주의 수업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은 이해할수 있다.
물론 고급기술인력을 대향으로 양성하려면 시설.교수요원등 여러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야하지만 그에 앞서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조부터 조성되어야 한다.
서독등 유럽에서 「마이스터」가 되면 수입이 많아짐은 물론 사회적 지위도 높아진다. 우리나라에서도 물가적 처우뿐아니라 사회적인 지위에서도 모든 기술기능인들을 존경하고 아끼도록 다같이 노력해야겠다.
지금의 국민학생들이 성년이 되는 90년대에는 고급기술자만해도 50만명이 필요하고, 기술기능공은 5백만명이 필요하게된다. 기술기능인들이 일반직과 같은 처우를 받기는커녕 도리어 소홀하게 처우되는 현재의 고루한 풍조가 가시지 않는한 「산업입국」의 길은 요원하다는 사실을 다같이 깊이 생각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