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응부­김문기|사육신 논쟁 재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70년대 국사학계를 뒤흔들어 김문기를 추가했던 사육신논쟁이 최근 또다시「국회청원전」으로 비화됐다. 사육신시비의 재발은 유창렬·박룡규씨 등이 지난 9월16일『사육신 묘역의 김문기 묘소(가묘)안치는 부당하므로 재고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하면서 비롯됐다.
김문기충효사상연구소 (소장 허명) 는 이같은 청원에 대항해 19일 국회문공위에 『적법한 절차를 거쳐 묘소를 봉안하고 위패를 모시는 등의 모든 의전까지 끝낸 김문기선생의 사육신현참문제를 재론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 탄원서는 또 『김문기선생의 사육신헌참은 국사관장의 최고 정부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가「왕조실록」기록 등에 의거해 만장일치로 결의했고 서울시가 적법한 행정절차를 밟아 묘소와 위패를 봉안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유씨측의 재고청원은 『왕조실록』의 몇 구절을 인용, 남효온의 『추강집』육신전 등에 근거한 사육신의 명만을 잘못 기록된 구전의 야사적 기록으로 몰아 붙여 김문기를 추가 현참케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당초의 주장을 내세웠다.
이들은 따라서 이미 3백여년전 기정 사실화된 역사의 기록을 바꾼 조치와 사육신묘역 안에 새로 봉안된 김문기묘소는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강했다.「사육신논쟁」이 최초로 표면화돼 학계의 열띤 찬반 .논쟁을 불러 일으킨 것은 77년7월. 방송작가 구석봉씨에 의해 제기된 이 문제의 핵심은 기로가상의 사실로보아 사육신 6명중 유응부를 빼고 김문기를 새로 넣어야 옳다는 것으로 요약됐다.
이같은 사육신문제의 제기는 즉각 천영유씨와 김영김씨 문중간의 문중싸움과 학계의 열띤 논쟁으로 번졌다.
싸움은 한치의 양보도 없는 문중간의 대결과 혹평·반박·이설 등이 무성한 가운데 3년 동안(77∼80년)계속됐다.
사육신논쟁은 정사와 야사문제, 역사의 왜곡, 기록의 오류시정 등이 서로 교차하면서 맹렬한 공박이 오갔고 아무도 선뜻 옳고 그름의 관점을 내리기 어려운 미궁을 헤했다.
마침내 국사편찬위원회가 이같은 와중에서 전통 사육신론과 신사육신론의 시비를 가리는 판정관석에 올랐다. 판정 결과는 『백촌 김문기를 사육신의 한사람으로 현창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었다.
이같은 결정은 77년8월 문교부가 사육신묘역의 관리책임을 맡고있는 서울시로부터 『사육신 명단에 관한 이의가 후손들로부터 있으니 유권해석을 내려달라』는 요청을 받고 산하전문기관인 국사편찬위에 최종해석을 의뢰한데 대한 회답형식을 취했다.
결과는 사육신울「단종충신」으로 개칭, 수의 제한을 풀고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응부·유성원의 종래 사육신 명단에 김문기가 추가됐고 서울시는 서둘라 서울 노량진 사육신묘역에 그의 묘소와 위패를 새롭게 봉안하는 조치로 끝났었다.
한편 최영보국사편찬위원장은『사육신 명단시비는 국사편찬워원회가「왕조실록」의 명문에 의거, 학문적으로 판결정을 내렸던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현재로서는 더 이상 재론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