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우리 나라 경제는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까. 올해 성장율은 6%, 지난해는 마이너스 5. 7%. 결국 새해는 영의 성장에서 새 출발을 해야하는 셈이다.
이웃 일본의 경제는 60년대를 통해 10%, 파란의 70년대엔 5%의 성장을 기록했었다.
일본의 일각에서는 요즘 80년대를 어둡게 바라보는 견해도 적지않다. 3%정도에 그치지 않을까 하는 예측이 그것이다. 그러나 근착 일본경제주간지 「이코너미스트」 (임시증간호) 는 한 권위있는 경제연구소의 분석을 빌어 일본경제의 앞날을 약관하고 있다. 아니 약관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저축율의 상승. 1973년 석유위기때 비산유국 국민들은 거의 공포감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나 일본국민들은 보란듯이 23%라는 최고의 저축율을 보여 주었다. 인플레가 진행되고, 생활고가 겹치면 당연히 저축할 마음의 여유가 없다. 그러나 일본은 예외였다.
저축이 늘면 단기적으로는 불황을 깊게 탄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자본축적을 촉진, 경제성장을 돕는다. 내일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맨다는 것은 이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다.
지금도 일본의 국민 저축율은 18%로 미국보다 3.5배나 높다. 서독도 일본을 따르지 못한다.
둘째, 노동력원. 80년대를 맞아 일본은 질적·양적으로 노동력이 강화되고 있다. 아직은 장년층이 두텁고, 교육수준이 높고, 대졸자도 늘어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 양적으로도 노동 예비군이 많다. 한마디로 질이 우수한 노동력이 풍부하다는 얘기다.
셋째, 일본적 경영의 힘. 일본의 경영자들은 단기 이윤에 집착하는 구미의 경영자와는 달리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있다. 석유 위기이후 노사의 협력이 오히려 강화된 것도 일본다운 현상이다. 일산 자동차나 도요따자동차공장에서 종업원들의 생산성향상 제안이 연간 50만 건에서 1백만 건으로 급증한 것은 한 좋은 예다.
넷째, 행정개혁. 재정팽창을 메우기 위해 국채를 증발하는 것보다는 「작은 정부」 를 통한 재정 억제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은 교과서에 있는 얘기다. 일본은 바로 그런 정책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다섯째는 기술혁신. 80년대의 활력을 불어넣는 최대의 과제는 새 기술의 개발이다. 일본은 일렉트로닉스의 비약적 진보와 함께 지금 IC (반도체)·LSI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요즘은 초초LSI, 곧「초」 자가 세 개나 붙는 반도체 개발에 국가적 노력을 쏟고 있다.
끝으로 석유부족의 극복. 지난해 일본의 석유륜입은 제1차 오일쇼크 때인 73년보다도 15%나 줄었다. 그러나 GNP는 역으로 32% 늘었다. 산업 각 분야에서 석유 소비량을 반감한 결과다. 역시 기술 개발이 이룩한 기록이었다.
이런 일들은 먼 나라 얘기일 수만은 없다. 우리 나라라고 못할 것은 없다. 문제는 정신력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