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식 신임 손보협회장 "과잉진료 줄일 방안 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장남식 신임 손해보험협회장이 1일 서울 종로구 손보협회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 손해보험협회]

“과잉진료와 보험범죄 폐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장남식 신임 손해보험협회장이 1일 서울 종로구 손보협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장 회장은 LIG손해보험 사장을 지낸 30여 년 경력 ‘보험맨’ 출신으로 협회 수장에 올랐다. 손보협회장 자리에 관료가 아닌 민간 출신이 오른 건 12년 만이다.

장 회장은 손보업계 적자 문제부터 짚었다. “손해보험산업이 저금리 장기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와 자동차보험의 만성적자 상황이라는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며 “2000년 이후 8조5000억원에 달하는 누적 적자와 적정 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손해율은 손해보험회사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손해율 악화와 영업적자란 악순환의 고리가 차단될 수 있도록 손해보험업계는 과잉진료, 보험범죄 등의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대국민 보상서비스 개선을 통해 내실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회장의 지적은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이날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올해 1~6월 적발된 보험사기 액수는 2869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2% 늘었다. 적발 금액의 82.3%(2504억원)가 손해보험에 집중됐다. 특히 입원비를 노린 허위ㆍ과다입원 사기가 최근 증가하면서 손보회사 손실을 키우고 있다. ‘나이롱환자’ 보험사기는 올 상반기 320억원으로 1년 새 69.8% 급증했다.

장 회장은 이어 “자동차보험 경영환경 개선 역시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제도 변경에 대해선 합리적인 제도 개선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