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하지만 신빙성 다소 낮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해동을 기다리는 마음처럼 언제나 경기가 화복될 것인가에 관심이 쏠려 있다.
기업이나 가계도 궁금해 하지만 정부도 이것을 정확히 파악해야 제때에 적절한 경기대책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한국은행이 매달 작성하는 경기 예고지표(WI·Warning index)에 주로 의존해서 경기의 향방을 가늠해 왔으나 금년부터는 경체기획원이 경기종합지수(CI·Composite index)라는 것을 따로 만들어 경기의 새로운 「바로미터」로 삼고 있다.
그러면 왜 CI가 별도로 만들어지게 되었고 내용적으로 WI와는 어떻게 다른지, 또 그 장단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자.
우선 CI가 새로 만들어진 첫 번째 동기는 지금까지의 WI가 경기변동을 예고하는데 불충분하다는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경기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를 집중적으로 모아 경기의 「안테나」를 고감도화 하겠다는 의도다.
가령 WI에는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표 뿐만아니라 지금의 경기나 과거에 어떠했는가를 말해주는 동행 또 후행지표들까지 한꺼번에 끼어 있어 경기예측력이 다소 둔했던데 비해 CI는 이것들을 따로 따로 분류해 경기의 움직임을 더 민감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모두 20개의 지수 중에서 통화나 신용장 내도액·수입허가·건축허가면적 등 앞으로의 경기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관련이 큰 9개의 지수를 따로 골라 경기예측을 위한 선행지표로 삼는 한편 대체로 경기변동과 움직임을 함께 하는 산업생산 지수나 가동률 등 6개의 지수로 구성된 동행지표와 시설자금대출이나 기계류 수입 등 5개 지수를 한데 묶은 후행지표로서 경기의 흐름을 그때 그때 확인해 나간다는 것이다.
또 WI에서는 모든 지표가 똑같은 비중을 갖는데 비해 CI는 각 지수마다 경기의 민감도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서 계산하기 때문에 경기변화에 더 예민하게 움직이게 된다.
한편 WI는 지표가 항상 0과 3사이에서 움직이게 되어 있는데 반해 CI는 기준연도를 1백으로 해서 지수로 표시되기 때문에 경제의 양적인 확대 등 추세치를 함께 나타낸다는 강점을 지녔다.
이 같이 새로 채택된 CI는 종전의 WI에 비해 전문적이고 세분화되어 있어 경기진단을 위해 더 선진된 계측방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미국이나 「유럽」선진국들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선진국들이 쓰고 있다고 해서 무작정 우리 경제에도 잘 들어 맞는다는 생각은 위험하다.
경기변화에 민감한 반면에 경제가 불안정해 불규칙 요인이 생기면 전혀 엉뚱한 예측을 할수 있다는 것이 CI의 최대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마치 초단파「라디오」가 「채널」이 조금이라도 틀리면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요란한 잡음이 끼어드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우리보다 경제가 훨씬 안정된 일본만 해도 CI를 내부자료로 참고하고 있을 뿐 아직 공식사용을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면에서는 WI가 비록 경기변동에 덜 민감한면은 있지만 우리 경제의 불안한 경기순환을 감안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예측의 신뢰성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또 CI는 경기에 민감한 것을 위주로 지표를 선정한데 반해 WI는 투자·소비·통화 등 부문별로 골고루 지표를 모았기 때문에 감도면에서는 뒤지나 부문별 동향을 파악하는데는 더 유용하다.
결국 어느 한 쪽도 완전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양자를 서로 보완해서 경기를 가늠할 수 밖에 없다. <이장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