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당신이 생각한 것보다 당신은 아름답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이영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오랜만에 피부과를 찾았다. 여름이라 잡티는 만발하고 모공은 팽창해 대책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고민을 토로하는 내게 의사가 말했다. “아유, 이 정도면 괜찮으신데요 뭘.”(양심적인 분이다. 혹은 시력이 좋지 않거나). “그럴 리가요. 뭐 방법이 없을까요?” 의사를 열심히 설득해 거액의 관리 프로그램을 결제하고 돌아오는 길, 문득 정신이 든다. ‘의사도 괜찮다는데, 나는 왜 앞장서 나의 모공을 미워하고 있는 것인가.’

 지난해 칸 광고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생활용품업체 도브(Dove)의 광고 시리즈가 있다. 전직 미 연방수사국(FBI) 몽타주 화가였던 남성이 커튼을 사이에 두고 여성과 대화를 나눈다. 여성은 자신의 눈·코·입·턱 등의 생김새를 자세히 설명하고, 화가는 여성의 얼굴은 보지 않은 채 묘사만으로 몽타주를 그린다. 여성이 자리를 떠난 후, 다음 사람이 들어온다. 화가는 조금 전 방에서 나간 여성의 생김새를 묘사해 달라고 요청한다. 그렇게 타인의 설명에 따라 완성된 또 하나의 그림. 두 개의 그림에 그려진 모습은 많이 다르다. 스스로 자신을 설명했을 때보다 타인에 의해 묘사된 얼굴이 훨씬 밝고 아름답다. 그리고 실제 모습에 가깝다.

 ‘여성들은 자신을 실제보다 못생겼다고 생각한다’는 통념을 증명하는 광고다. 위 실험에서 스스로 묘사한 모습이 더 아름다웠던 경우는 전체 참가자의 4%에 불과했다. 요즘 장안의 화제인 한 케이블 방송의 메이크 오버(makeover·변신) 프로그램을 보면서도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거구의 잇몸녀’ ‘의부증 비만 아내’ 등의 별명이 붙은 참가자들은 변신 전 외모 때문에 겪었던 끔찍한 고통을 털어놓는다. 하지만 그중 어떤 이는 스스로 묘사하듯 ‘외모 때문에 모든 일이 꼬일 만큼’ 심각하지는 않다.

 수배자의 경호원도 예쁘면 칭송받는 세상, 아름다워지려는 노력에 토를 달 배짱이 없다.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외모 스트레스도 적어질까 했으나 그렇지도 않은 모양. 얼마 전 발표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해를 거듭할수록 외모 때문에 고민하는 청소년이 늘고 있다니 말이다. 어쩔 수 없다. 거울에 비치는 내 모습이 맘에 안 들 때마다 시력을 의심하기로 한다. 나는 (아마도) 내 생각보다 아름답다. 도브의 몽타주 실험에 참가한 여성들은 말했다.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찾아내고 고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젠 내가 좋아하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을 쓰며 행복해하련다.”

이영희 문화스포츠부문 기자

▶ [분수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