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할 호남출신 적은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새 정부 인사의 호남 소외 논란에 청와대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행정부 인사문제에 그치는 게 아니라 노무현 대통령이 승부를 걸고 있는 내년 4월 총선의 호남표 향배, 민주당 개혁 문제와도 얽힌 변수이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해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 인사 관계자는 "1급 이상 고위직 인사의 경우 각 부처에서 영남 출신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느라 그런지 영남 출신들을 대거 후보군에 올리고 있으며, 호남 출신은 소수만 추천하고 있다"고 전했다. 盧대통령이 김대중(金大中) 정부의 최대 실정(失政) 중 하나로 인사를 꼽은 데 대한 반응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정권 때 호남 출신 중견간부들 상당수가 승진한 때문인 듯 1급 이상 승진자의 주 후보군이 돼야 할 국장급 등 중간허리 부분에 호남 출신의 인적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이유"라고 말했다.

盧대통령이 10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1,2급 공무원 수만을 단기적으로 보지 말고 고위직 후보군인 3,4급 공무원의 출신지역과 규모를 장기적으로 균형있게 맞춰달라"고 주문한 것도 이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DJ정권에서 고속 승진을 거듭해 온 일부 공직자의 경우 각종 이권청탁에 개입한 흔적이 있고, 후보군에 속한 한 인사는 무려 40여차례의 부동산 투기를 한 사실도 적발돼 결국 누락됐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전언도 나온다.

청와대는 11일 호남지역 1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면접 여론조사(9일 실시.월드 리서치사) 결과에서 새 정부 인사의 호남 출신 비중에 대해 "상당히 많은 편"(9.1%), "국민의 정부보다 줄었으나 적지 않게 있다"(58.2%)가 "별로 없다"(25.7%)보다 많았다고 반박했다. 또 盧대통령의 인사정책 지지도는 "잘하는 편"(84.4%)이 "잘못하는 편"(12.8%)보다 높았다고 말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