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진출의 질적전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대중간경제협력방식을 다각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중동진출전략은 올바른 정책방향설정이다.
12일의 무역진흥확대회의에서 외무부는 앞으로의 대중간 진출은 종래와 같은 건설위주의 평면적 진출을 지양하고 그 지역국가의 장기경제개설계획과 부합하는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입체적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외무부의 구상은 건설주력에서 탈피, 일반상품·「플랜트」수출에 중점을둠으로써 장기적인 시장기반을 구축하는데 힘을 기울이겠다는 것이다.
때마침 제2의「오일·쇼크」로 인해 국제무역환경이 나빠지고 있는데다 엄청나게 늘어날 석유수입대전을 벌어들이기 위해서도 「오일·달러」가 국제수지개선을 의한 중요한 재원이 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뿐만아니라 그것은 국내경기를 자극하는데도 큰 몫을 차지할 것이다. 우리의 중동진출은 월남종전이후 본격화되어 이제 한국경제에서 점하는 그 비중은 무시하지 못할이만큼 크다.
73년의 대중간 건설수주액은 불과 2천4백만「달러」였으나 78년은 79억8천2백만 「달러」에 이르러 연평균 신장율이 2백82%를 기록했다.
계약액누계액은 1백46억6천3백만 「달러」, 외화입금액은 25억2천4백만 「달러」에 달해 원유가를 건설수출로 보전했다는 외지의 반응까지 나왔었다.
상품수출에 있어서도 77년중 13억「달러」를 수출, 우리 총수출액의 10%를 차지하여 74년의 1%에 비해 10배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동의 정치·경제정세의 급변으로 중동시장은 이미 종전과 같은 좋은 여건만 갖춘 곳은 못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애의 평화협정으로 시작된 중동각국의 이견심화, 그에 따른 원유생산·가격정책상의 의견불일치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경제정책면에서는 석유자원의 고갈에 대비한 자국산업육성을 목표로 외국기업의 진출을 경계하는 색채를 띠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대응전략도 중동의 상황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되지 않으면안될 것이다.
특히 건설수출면에서는 우리가 해온 단순건설수주의 질적전환이 절대로 필요하다.
우리가 이제까지 해온 건설수주는 설계용역이나 「플랜트」건설같은 고부가가치의 것은 구미에 완전히 뺏기고 상대적으로 저임인 노동력진출에 그치는 형태였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5월말현재 중동에 진출한 9만8천여명의 노동력중 약83%에 달하는 인원이 건설·토목·단순노무·운전정비라는 구성내용이 이를 말해준다.
더우기 중동각국이 최근에는 자국기업에 건설용역을 주는 정책을 취하고 있어 우리의 참여문호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반면에「오일·달러」를 향한 각국의 진출경쟁은 점점 격화해가고 있으며 우리의 노동「코스트」도 동남아노동력에 비해 우위성을 더 이상 지탱하기가 어려워져 가고있다.
때문에 우리도 중동시장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품수출과 「플랜트」건설에 주력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는 외무부의 견해는 정곡을 찌른 것이다.
중동의 주요수입상품은 식료품 기계류를 비롯, 건설자재와 귀금속 섬유류등이다.
그동안 한국의 대중동출상품도 선박·「시멘트」·철강제품·섬유등이 주종을 이루어왔음은 중동의 수요를 잘 말해주고 있다.
다만 아직 고가공식품류의 분야는 개척의 여지가 있는듯하다.
그리고 중동진출에 있어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그 지역의 상관습존중은 물론 중동의 경제발전에 적극 협력한다는 자세를 잊지 말아야겠다는 것이다. 튼튼한 경제협력의 기틀은 상호신뢰에 바탕을 두어야 하는 것이지만 중동지역은 그 성의가 더한층 요청되는 특수지역인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