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업자금난 완화대책 강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업의 자금난이 극도로 악화, 부도사태가 날 위험이 높아지자 지금까지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온 재무부는 한은에대해 분기별 여신한도를 신축성있게 운용하도록 지시하는 한편 일반은행에 대해선 대기업이 부도날 위험이 있을 경우 은항감독원과 사전협의, 단기자금을 지원해주도록하라고 시달하는등 기업자금난 완화대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26일 재무부에 따르면 대기업이 부도를 낼경우 걷잡을수없는 경제적·사회적 연쇄파문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보고 경영상태가 방만하지 않는한 대기업및 재무구조가 좋은 기업은 부도를 막아주기로 지침을 세워 은행감독원과 각은행에 시달했다.
이지침은 기업이 단기운전자금을 필요로 할 경우어음을 담보로해서 대월융자를 해주고 타인대(편타대출)억제를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있다.
또 은행의 책임회피로 부도가나는것을 막기위해 대기업어음을 부도로 처리하고자 할때는 반드시 은항감독원과 사전협의, 감독원의 지시를 받도록했다.
여신한도는 해외부문의 대폭적인 환수로 여유가 생긴만큼 4월중에 계획(2천7백억원)보다 5백억원을 추가해 운용하도록했다.
재무부는 또 기업의 자금수요가 단자회사로 집중되고 있는점을 감안, 여기에도 자금공급 능력을 늘려주기위해 단자회사가 보유한 증권을 사들임으로써 2백33억원을 지원해주도록 한행에 지시했다.
정부는 심화되고있는 자금난이 율산사건여파만이 아니라 올해 통화계획자체에도 문제가 있는것이 아닌가 보고 하반기에 들어서도 자금난이 계속되면 통화계획을 수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통화계획을 GNP실질성장 10%, GNP「디플레이터」12%로해서 짰는데 물가폭등으로 GNP「디플fp이터」가 20%에 육박할 전망이어서 총통화증가율 25%로 잡은 통화계획의 수정은 불가피한것으로 보고있다.
그런데 최근의 자금난으로 건설업·무역업·제조업계의 대기업체중에서 부도직전에 놓여있는 업체가 많이 있으며 종업원 월급지불을 미루거나 배당금을 못주고있는 업체도 상당수에달하고있다.
경제4단체들은 26일 아침 모임을 갖고 정부에대해 기업자금난 완화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줄것을 촉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