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방운동 적극 전개|부당가격 불량환경 불량약품 불량식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서울시는 12일 올해 시민의 보건·위생을 위협하는 ▲부정·불량식품 ▲부정·불량의약품▲부당가격 ▲불량환경 추방운동을 적극 추진키로 하고 시 본청과 13개 구청에 기동순찰대와 시민고발「센터」를 설치하는 한편 위법사례가 적발된 식품 및 의약품제조·판매업소에 대한 처벌을 크게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 보건연구소의 시설과 기구도 크게 늘려 부정·불량식품의 검사기능을 보강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번 단속에서 불량식품과 의약품을 취급하거나 값을 속여 팔다 적발될 때엔 가장 무거운 행정조치와 함께 법정최고의 형사책임을 묻도록 할 방침이다.
14개 기동순찰대는 각각「픽업」1대씩과 4인조로 편성, 시장·「아파트」·학교주변·변두리지역 등의 보건위생 취약지구를 순회하면서 집중단속을 편다.
14개의 시민고발「센터」는 낮에는 본청 보건행정과와 구청 위생과에. 밤에는 본청과 구청 숙직실에 설치, 24시간 4가지의 보건위생위반 사례에 관한 시민의 신고를 받아 즉시 처리 하게된다.
서울시는 또 부정·불량식품과 의약품의 검사기능 강화를 위해 서울시 보건연구소를 현재위치 (용산구 한남동 726의28·대지 8백4평·건평 5백44평)에서 연내에 강남구 서초동 (교육원부지 내·대지3천평·건평 1천8백평)으로 옮겨 시설을 확충하고 기구도 확장키로 했다. 이에 따라 기구는 현재의 2부1과 (위생화학부·공해미생물부·서무과) 에서 4부1과 (위생·약품·공해·미생물부·서무과) 로 늘어나게 된다.
서울시는 부정·불량식품 근절을 위해 제조원에서부터 유통판매에 이르기까지 시내 2천1백15개 식품「메이커」와 2백67개 시장 3만6천9백18개 점포 및 구멍가게를 대상으로 교육과 단속을 병행하기로 했다. 특히 시장·「아파트」학교주변에서 많이 팔리는 두부·콩나물· 고춧가루·참기름·어육 등 서민의 향토식품과 계절식품, 어린이용 식품,「리어카」·노점·행상 등에 의한 무허가식품을 집중단속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