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바람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한미 양국정부는 박동선·김동조 사건 등 최근의 한미현안이 수습단계에 들어감에 따라 새로운 한미관계의 정립을 위해 양국간 정상회담개최를 긍정적인 방향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 같다. 정부소식통은 박정희 대통령의 9대 대통령 당선을 계기로 한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양국정부에 의해 구체적으로 거론될 단계에 와있다고 말하고 필요하면 박 대통령이 방미, 「카터」대통령과 만나 주한 미군 단계적 철수에 따른 한반도 안보정세 등을 협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외무부 고위당국자는 8일 『한미 정상회담의 시기·장소 등에 관한 구체적 협의는 없었다』고 말했으나 『한미양국은 우방이므로 정상회담을 한다고 해서 깜짝 놀랄 필요는 없으며 양쪽이 편리한 시기에 정상회담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편리한 시기가 구체적으로 언제인지는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 5월 「브레진스키」미 대통령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의 방한으로 정상회담의 터전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11월에 미국의 중간선거가 끝나고 금년내 미 지상군 제l진의 철수가 시작되므로 내년 초반이 시기적으로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고 다른 관측통은 전망했다.
당국자는 『현재 미국이 대「아시아」전략수립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급성장하고 공업생산력 및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있으며 비동맹국과 실질적인 관계를 심화하고 있는 한국을 재평가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하고 한미정상회담은 그러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모 미국의 식자간에 일본을 동맹국으로 하고 중공을 미측에 끌어들인다는 동북아 전략구상에 있어서 과거처럼 의존적인 관계가 아닌 대등한 관계에서 한국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