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체코 등 동구권의 인권탄압에 강경 자세 재확인, 키신저의 연계 개념 반대·SALT완 연관 안 시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해설>
【워싱턴=김영희 특파원】「카터」는 대통령 취임 후 가진 첫 공식기자회견에서 소련을 포함한 전세계 인권문제에 관해서는 미국이 강경한 항의를 계속하겠다고 선언했다.
이것은 사실상 1월 26일과 27일 국무성 대변인이 발표한「체코」와 소련의 인권탄압에 대한 비난성명을 공개적으로 승인하는 조치나 다름없다. 「카터」는「데탕트」의 명맥을 유지하려고 소련의 인권문제에 침묵을 지킨「키신저」의「링키즈」(연계)개념에 반대한다고 밝히고「카터」행정부는 인권문제에 강경한 의사표시를 할 권리를 갖는다고 말했다.
이것은「체코」에서의「77헌장」서명자 탄압, 소련에서의「사하로프」「알렉산드르·긴스부르크」체포에 대한 미국의 잇단 항의 성명을「카터」대통령이 한 묶음으로 승인하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그러면서도「카터」대통령은 AP통신의「모스크바」특파원 추방. 그에 대한 보복으로서의 「타스」통신의「워싱턴」특파원 추방이 미소「데탕트」를 해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하여「브레즈네프」소련공산당서기장을 향해서 인권문제와는 별도로 전략무기감축회담을 빨리 서두르자고 촉구했다.,
「카터」대통령은 침묵과 비밀외교의 종말을 선언했다.「타스」통신은 미국무성의 성명을 보고 불쾌한 수작이라고 비난했고, 주미소련대사「도브리닌」은 내정간섭이라고 항의를 했다.
그런 과정을 상세히 보고 받은「카터」대통령이지만 기자들을 상대로 여유 만만하게 소련의 인권위반에 대한 미국의 항의자세를 늦출 것을 거부함으로써 세계의 관심을「브레즈네프」에게로 돌려놓았다.
그러나「카터」는『군대를 끌고 들어가 소련 내정의「메커니즘」을 바꿀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함으로써 공개비난 이상의 행동을 취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