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왕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언젠가는 오리라 생각했던 소련의 2백 해리 경제 수역 선포였지만 이것이 예상외로 빨리 설정되자 수산청 당국과 관계 업계는 모두 당황하여 우왕좌왕하고 있다.
수산청은 대미 「코터」문제가 아직 남아있어 외교 관계조차 없는 대소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대책이 없이 외무부 눈치만 보고 있고 북양 어업 진흥회는 회장(이학수)마저 사고로 사임한 형편이어서 내우 외환이 겹친 격.
회원사 13, 어선 69척을 보유하고 있는 북양어업 진흥회는 실상 가상으로 고질화된 회원사간의 반목을 씻지 못하고 있어 소련의 2백 해리 경제 수역 선포로 이중의 위기를 맞고 있다.
같은 건물을 쓰고 있으면서도 기획원과 재무부는 상당히 「라이벌」의식이 강한 것 같다.
금년에 기획원이 투자 장려법의 제정을 추진하자 가장 센 「브레이크」를 건 곳이 다름 아닌 재무부.
국민투자 기금이 있는데 다시 투자 장려법을 만드는 것도 이상하니 차라리 외자 도입법을 뜯어고치자고 반성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기획원이 「뱅크·론」 업무를 재무부에서 기획원으로 옮기자는 이야기를 꺼냈다가 재무부의 맹렬한 반대를 받고 일단 휴전 상태에 돌입. 그러나 기획원은 투자 장려법이나 「뱅크·론」문제를 내년에 다시 재론한다는 방침이어서 어차피 내년 초에 「리턴·매치」를 가져야 할 듯.
지난여름 이후 너무 많이 남아돌아 탄광업계 및 상공부 당국자들이 골치를 앓았던 석탄 체화 현상은 추위가 본격화되면서 수요가 크게 늘어나 한결 시름을 놓게 됐다.
더구나 내년2∼3월이면 탄가가 인상될 것이 확실해 석탄업자들은 기대에 부푼 상태인데 문제는 인상율.
최근 저탄 추세를 보면 8일 현재 3백30만t으로 10월말의 4백20만t에서 90만t이나 줄어들었다.
이처럼 석탄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추위가 닥치자 가정 연탄 소비가 격증하고 내년 탄가 인상에 대비, 미리 저탄하려는 심리가 가세됐기 때문.
상공부는 탄가 인상 작업의 일환으로 담당국 직원을 동원, 전국 주요 탄광에 대한 현지 실태 조사를 마쳤는데 내년 l월 각 업체의 결산 자료가 취합되는 대로 인상율 조정에 들어갈 예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