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인사 참석한「경제정책 협의회」|4차 5개년 문제점 제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낙후된 한국의 과학·기술부문이 안고있는 과제는 기술의 자체개발보다 어떻게 하면 선진기술을 합리적으로 이를, 하루빨리 이를 우리체질에 알맞게 정착시키느냐 하는데 있다.
기술의 자체개발이 소망스럽긴 하나 우리의 현 위치에서 이를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면 선진국과의 기술수준 면에서의 격차를 더욱 벌려 놓을 우려가 있다. 자체개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성능을 보장할 수가 없다는 것.
선진기술의 도입 정착화를 도모하는데도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제까지 우리의 기술전인 실적을 분석하면 60%이상이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인데 그 대부분은 구미에서 개발된 것이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
이 같은 기술의 삼각도입은 일본을 거치는 동안 낡은 기술이 되었거나 공해문제로 일본에서 버려진 것이 적잖이 끼어있다는 데서 문제를 안고 있다.
또 한가지는 기술을 받아들이는 우리의 체제가 경비되어 있지 못해 이중 도입 등 비 합리적 면이 많다는 것.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기술도입「센터」를 설립, 기술도입의 창구를 일원화하고 도입기술을 각 업체에 배정한다는 구상을 추진하고있으나 과연 정부가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그리고 기업의 독자성과 제품의 특성을 살리면서 기술배급을 할 것인지 두고볼 일이다.
정책협의회에 제시된 방안 중 관심을 끄는 것은 기술개발 준비제를 전 기업으로 확대 실시하여 판매액의 2%를 적립토록 하겠다는 것인데 구체적 내용은 앞으로 밝혀지겠지만 기업의 성격·규모 등을 고려치 않고 무차별로 2%를 적립케 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자원조사를 강화,「우라늄」탐사와 석유자원개발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으면서 막상 이 부문에 대한 투자규모는 2백 75억 원 밖에 책정하지 않고 있어 자원탐사노력이 형식에 그칠 우려가 있다.[신성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