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혁신을 위한 산학협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농업교육진흥 및 농업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부터 농업분야의 산학협동사업을 대폭 강화키로 하였다는 것이다.
근자 우리의 농업은 「통일벼」·「유신벼」와 같은 다수성 신품종 볍씨가 개발되는 등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한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도 농공간의 괴리는 좁히지 못하고 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이론과 실제가 상호협조를 하지 못한 채 도리어 배타적으로 작용해 온데다 이를 시정하기 위한 산학협동도 명목상의 구호에 그쳤을 뿐 실제 영농기술개선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까지 수삼년간 추진해온 농업분야의 산학협동은 새 영농기술을 실제 영농에 응용한다든가, 실제 영농 과정에서의 애로를 이론면에서 타개시킨다든가 차는 산학협동 본래의 기능을 활용한 것이라기 보다 학교·농대출신 등 양질의 노동력이 이농하는 것을 막는 극히 소극적인 협동에 지나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른바 고급 잠재 실업자에게 농촌 정착자금을 지원, 정부가 지정한 품목이 양적으로만 충족되면 산학협동이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 같은 소극적 운영방법으로는 농업교육진흥이나 농업기술개발을 위한 산학협동은 그 성과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배우면서 가르치는 것이 산학협동의 궁극적 목적이라면 이 같은 양질의 농촌노동력을 확보한다거나, 단순히 물량적 효과를 올리려는 태도를 지양, 좀더 의욕적으로 농사분야 전반에 걸친 개선사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고 영농혁신의 기본이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장기간에 걸쳐 해결한다는 정책자세가 바람직하다.
즉 농고·농대출신 이외에 농업기술자 자격이 있는 자, 또는 농업기술교육을 받은 농촌 지도자 등도 자금지원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산학협동대상「프로젝트」도 지금과 같은 한우증식·양송이 재배 등 개별품목의 증산보다는 품목개량·토양개선·비배관리·경영관리 등과 같은 근본적이고 폭넓은 과제로 전환돼야 하겠다는 것이다.
우리의 농업이 아직도 낙후상태에 있는 것은 한 두 가지 개별품목의 평가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농·임·축산 전반에 걸쳐 육종·영농기술·경영관리, 그리고 척박한 토질의 개량 등이 미흡한데서 비롯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에 있어서의 산학협동에는 풍부한 연구실적, 경험이 있는 농과계 대학교수와 농업관계 기관의 지도사의 광범한 교류가 무엇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미국은 이미 19세기말부터 교수직과 지도직·연구직을 상호 교류, 명실상부하게 산학을 협동시킴으로써 오늘날의 미국농업을 가능케 했던 것이다.
이 같은 산학협동을 위해서는 예산상의 문제점도 대폭 개선, 지원폭을 넓히는 한편 품목보다 사람과 성과를 중시하는 예산원칙이 채택되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