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교육과 사상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회 예결위에서의 정책질의를 통해 김종필 국무총리는 사상무장을 위한 정치교육의 필요성을 시인했다. 아울러 반공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새로운 기구의 설치여부도 거론되었다. 우리의 경우 민주주의 국가이념의 생활화와 반공교육의 강화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절실한 국가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반공 사상교육과 민주주의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과 새로운 기구를 따로 신설하는 문제는 별개의 문제다. 공산사회에 있어서의 그 정치학습과는 달리 자유사회에 있어 반공 민주교육이란「반공의 생활화」나「생활 속의 반공학습」을 대본으로 삼는 것이다.
학교·직장·새마을에서 끊임없이 반공을 체득하며 실천하는 것이 바로 최선의 반공교육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그 중에서도 특히 새마을 교육과 같은 방식은 지금까지 나왔던 어떤 민주주의 정치교육보다도 효과적인『생활화된 사상교육』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의 효율화라는 당면의 필수적 과제를 실천함에 있어서도 그와 같은 기존방식을 보다 완벽하게 활력 화하는 길을 생각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절실히 필요한 것은 가정과 학교와 새마을과 직장 등 모든 분야의 국민들이 손쉽게 공부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 교전 내지 반공교육교과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진과 교육기재의 공급이다.
이와 병행해 공산당의 기만적 최면술을 철저하게 깨뜨리고 냉각시킬 수 있는 과학적·논리적 반공이론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반공이론은 공산주의이론 자체의 모순을 해부하고, 공산 권력구조의 비인도적인 정치 악을 폭로하며 그들의 각종 전략전술을 파악해 두고 공산침략에 대처하는 자유사회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
특히 현대 공산주의가「인민민주주의」니「민족화해정부」니 하는 따위의 기만적 전술 구호 밑에 동구와 월남을 어떻게 적화했는가를 소상히 밝혀 내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자유월남이「하노이」의 민족주의 악용전술과 통일전선전략에 일찍부터 좀더 효과적으로 대처했던들 지난 4월의 인지반도사태와 같은 비극은 초래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각급 학교에서의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은 물론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민주주의를 국시로 한다는 한국 민들의 의식에 있어 아직도 공산주의의 정체와 그 실지전술에 대한 인식은 극히 소박한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더구나 학생들만 아니라 전 국민을 상대로 한「다이너믹」한 민주시민교육과 반공사회교육의 생활화는 아직도 완벽하지 못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직도 우리의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은 체계적인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사회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항구적인 체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이 같은 국민교육의 강화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교과과정을 편성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재교육 및 시청각교육기재 등의 공급이 뒤따라야 할 줄 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남가 주 대학 및「반데르빌트」대학에서 개발한 반공교육 교과과정 등은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를 주는 성가 높은 반공교재로서 권장 된지 오래인데도 아직 이렇다 할 발전이 없는 것이 아쉽기만 하다.
요컨대 공산당이「이데올로기」의 탈을 쓰고 나오는 한 그 기만적 가면을 벗겨 버리는 반공「이데올로기」투쟁의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재인식, 우리의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을 시급히 강화하고 효율화해야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