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르면 전셋값도 상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주택 거래가 늘고 집값이 오르면 전세가격을 끌어올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통해 전세 수요를 매매 수요로 바꿔 전셋값을 안정시키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전세난을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서민층의 주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9일 내놓은 ‘전세가격 결정요인 분석과 전·월세 대책에 대한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최근의 주택시장과 전세가격 동향을 분석했다. 신 위원은 “2012년 9월~2013년 6월 집값이 하락했을 때도 전세가격이 올랐지만 이 당시는 전세 수요가 많았다”며 “중장기적으로 거래량의 증가와 주택가격 상승, 전세공급 부족이 전세가격 상승과 연관이 있고 서로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최근 실수요 중심의 주택 거래가 이뤄지고 매매가도 완만하게 상승하는 것에 대해 신 위원은 “이런 거래를 통해 하우스푸어의 악성 부채를 해소할 수 있고 가계부채의 질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런 거래의 증가와 집값 오름세는 중장기적으로 전세가격의 상승을 부를 수 있는 만큼 앞으로는 서민층의 주거비용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 위원은 또 “지난달 발표된 전·월세 대책 중 세액공제 확대를 통한 세입자의 부담 완화와 임대사업자 과세 강화를 통한 조세정의의 실현은 서로 부딪히는 효과를 낼 수 있어 보다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입자가 월세로 바꾸는 데 따라 부담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세액공제 혜택을 넘어설 수 있고, 집주인이 전·월세 가격을 올려 세입자에게 부담을 떠넘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전·월세 시장 안정의 전제 조건인 임대물량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세제 혜택을 확대해 임대사업자 등록에 따른 세원 노출의 충격을 줄여야 한다”며 “세입자를 위해서도 월세 소득공제를 늘리고 주택바우처(주거급여) 제도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