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재발방지·주한 일인 보호 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경=박동순특파원】일본정부는 6일 주한일본대사관난입사건에 대해 서울과 동경에서 각각 한국정부에 강력히 항의한데이어 7일 중으로는 정식외교문서로써 항의하도록 「우시로꾸」(후궁호낭)주한대사에게 훈령했다. 이 항의문에는 ①이러한 사건의 재발이 없도록 경비를 강화 해줄 것 ②적절히 피해를 보상해 줄 것 ③관계자를 처벌해 줄 것 ④재한 일본인을 보호해줄 것 등으로 알러졌다. 또 일본정부대변인 「니까이도」(일자당진) 관방장관은 『이번 사건에 대해 국제법상관례와 권리에 따라 일본정부가 취할 태도를 유보 한다는 것을 한국측에 통고하겠다』고 말했는데 외무성 소식통은 문서와 구두에 의한 항의이외에 대사소환 같은 외교적 조치는 당분간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무성은 김종필 총리가 범인체포와 경비강화 등 관계당국에 대해 이미 사후조치를 지시한 점에 비추어 한국측이 성의 있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보고있으며 한·일 관계가 더 이상·감정적으로 악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사태에 냉정히 대처하겠다는 뜻을 말하고 있다.
일본외무성관계자는 『폭도가 대사관 안에 난입한 것은 중대한 일』이라고 지적하면서도『이 사건이 한·일 관계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태는 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외무성의 다까시마(고도) 「아시아」국장은 6일 하오 윤하정 주일공사를 외무성으로 초대, 서울에서 일어난 「데모」사태에 항의했으며 이에 대해 윤 공사는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이 사건을 냉정히 받아들이겠다는 일본정부방침에도 불구하고 내주 초에 전달될 「다나까」(전중) 수상이 김 총리에게 보내는 친서내용이 한국측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것 같아 한국 안에서 격렬한 「데모」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고 일본 국내의 대한여론도 상당히 경화돼 가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일본정부가『냉정히 대처한다』는 방침을 끝내 관철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일본신문들은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