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행태 보니 기다릴 시간 없어 케리 국무장관이 역할 해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지만 나는 강하게 부정한다. 위안부 제도가 ‘필요했다’고 말하는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위안부를 한때 창녀로 간주했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모미이 가쓰토 NHK 회장의 망언 등이 그 증거다.”

 지난달 미 의회에서 위안부 결의안을 세출법안에 포함시켜 통과시킨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사진) 연방 하원의원이 4일(현지시간) 존 케리 국무장관에게 서한을 보냈다. A4용지 2쪽 분량의 편지에서 혼다 의원은 “생존해 있는 위안부 희생자들에게는 더 이상 인내할 여유가 없다”며 “일본 정부가 이 사안을 해결할 수 있도록 미국 국무장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달라”고 촉구했다.

 지난달 1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한 세출법안에는 ‘2007년 하원에서 처리된 위안부 결의안을 해결하도록 국무장관이 일본 정부에 독려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는 일본 제국주의가 성노예를 강요한 20만 명의 여성들 중 현재 한국에 55명, 필리핀에 26명, 대만에 5명만 생존해 있음을 적시했다. 특히 지난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던 황금자(91) 할머니가 별세한 사실까지 거론한 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혼다 의원은 케리 국무장관의 분발과 더불어 미 국무부 내 민주·인권·노동국과 인신매매 감시·단속국 담당자와의 면담도 요구했다. 그러면서 “이건 과거사 이슈도 아니고, 아시아 이슈도 아닌, 인권 이슈”라며 “일본이 충분히 사과하지 않는 한 이 문제는 지역과 국제 안보까지 위협하고 있는 시급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