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해 살 땅이 없다"|영산강유역 수몰예정지구 주민들의 호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영산강유역 개발 사업에 따른 「댐」공사로 수몰지구대상 주민 1만1천여명은 대대로 살아온 고향을 떠나게 됐으나 설움이 많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로부터 농토 등을 보상받고 철수케 되지만 살던 집, 짓던 논·밭을 떠나 이삿짐을 꾸리게되면 막상 어느 곳으로 이주해야될지 모르겠다면서 대책을 호소했다.
또 농토 등 재산 보상가격이 비현실적이라고 주장, 재조정해 줄 것을 바라고있다.
영산강은 4백만 전남도민의 젖줄.
이 강의 유역개발 1단계기간사업인 대초 「댐」(나주군 다도면 대초리), 장성「댐」, 담양 「댐」 등 3개「댐」공사가 지난 4월부터 8월 사이에 차례로 착공됐고 광주「댐」도 오는 74년2월 착공된다.
관개용수개발을 위해 총 사업비 3백35억원을 들일 이「댐」 공사로 수몰지구 대상주민들은 「댐」 완공예정기일인 76년 이전까지 철수케 되어있다.
농업진흥공사 영산강사업소(소재지 광주) 에 의하면 4개 「댐」의 수몰대상 주민은 농가1천4백86동 1만1천1백36명.
이들은 74년부터 75년까지 현 고장을 떠나야 된다는 것이다.
이들이 짓던 논·밭 가운데 수몰대상만도 1천4백72㏊(4백40만평)나 된다.
수몰주민들은 가옥·전답 등 재산을 보상해 준다해도 어느 곳에 이주할 것인지 막연하다고 했다.
장성 「댐」의 경우 수몰대상 총면적은 7개리에 걸쳐 5백18㏊(1백55만평)고 이중 논·밭은 4백48㏊며 철수해야할 주민은 농가 4백54동 3천4백8명에 이른다.
수몰주민들은 내년6월부터 철수를 서둘러야 될 판.
장성 「댐」공사 사무소에 의하면 영산강상류 황룡강을 장성읍 용강리에서 가로막아 길이 6백3m, 높이36m의 「댐」의 본제당이 공정 10%의 진척도를 보이면 가제당이 설치돼 주민들의 1차 철수가 시작된다는 것이다.
1차 철수 대상은 장성읍 용강리·봉덕리와 북상면 용곡리·수성리·동현리 등 5개리 주민 2천7백30여명이다.
대개 논은 평당 최고1천2백원, 밭은 4백원∼7백원, 집은 건평당 7∼8천원 꼴로 정부의 보상을 받고 이주케 되었으나 철수대상농민들은 새 정착지를 결정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온 마을이 완전수몰대상인 동현리의 경우 1백20가구 주민들은 가제당이 설치되는 내년6월까지 철수해야 되는데도 아직 1가구도 새 정착지릍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장 김종씨(34) 의 이야기였다. 짓던 농토만큼 살 수 있는 새 정착지를 찾을 길이 없기 때문이라 했다. 장성군 관내 비수몰지구에는 팔려고 내놓은 농토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김씨는 소작농 50가구와 날품을 팔던 28가구는 더욱 오갈데 없게됐다면서 집단 이주를 시켜 새 생활터를 마련해주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5대째 살아오며 논1천4백평, 밭 8백평을 짓고있는 김병묵씨(40·동현리 기동마을) 는 『마을주민들이 뿔뿔이 헤어져 실향민이 되는 것도 서러운데 어디 가서 농토를 마련할 수 있겠느냐』 며 시름에 젖었다.
전병태씨(38·용강리)의 경우는 논농사 1천2백평을 짓다가 이농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수몰농민들은 정부의 농지보상가격도 현지 농지시세보다 싸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논의 경우 평당보상최고가격이 1천2백원 꼴이나 1천4백원∼1천5백원 꼴로 보상되어야 한다고 했다.
수몰지역 밖 이웃마을 장성군 북하면 일대의 논1마지 시세가 28만원∼30만원이라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하경태씨(41·수성리)는 『1마지기 당 5만∼6만원 꼴로 더 물어야 다른 곳에 가서 논을 살수 있게됐다』며 현 소유 수몰대상 논 20마지기에서 1백여만원을 손해보게 되었다고 말했다.
또 4백20년째 대대로 살아왔다는 강인섭씨(65·동현리)는 『다른 곳에 이주해도 보상비로 똑같은 경지면적을 살 수 있도록 보상가격을 재조정해 주어야한다』고 주장했다. <장성=호남 특별취재반 김경철·고정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