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가는 일본 극우 세력들…위안부 기림비 철거 억지

미주중앙

입력

일본 극우세력의 위안부 기림비 철거 억지가 집요하게 이어지고 있다.

30일 오후 4시 현재, '위더피플'에 올라온 글렌데일 소녀상 철거 서명운동에는 총 9만542명, 뉴욕 낫소카운티 아이젠하워 파크 기림비를 없애자는 청원엔 총 2만6440명이 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낫소카운티 기림비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것으로 전쟁 참전용사들이 묻힌 곳에 세워져 의미가 크다. 낫소카운티 기림비 철거 서명운동 마감일은 내년 1월12일이다.

이들은 기림비가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증오의 표시'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특히, 내년 1월10일이 마감인 글렌데일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청원의 경우, 백악관의 입장과 해결방안 등 답변을 듣기 위한 서명인원 10만 명을 곧 채울 것으로 보인다.

두 기림비 철거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작성자는 "여기는 미국이다", "'평화'라는 단어로 모두를 속이고,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증오심만 부추기고 있다" 등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역사 알리기' 운동을 진행중인 가주한미포럼(대표 윤석원)은 "억지에 불과하며 일일이 대응할 필요도 없다"고 일축했다. 포럼은 철거운동에 동의한 서명자들 중 출신지를 떳떳이 밝힌 이가 별로 없어, 일본에서 무작정 이름을 올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윤석원 포럼 대표는 "소녀상은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글렌데일 시가 세운 것인데, 백악관에 막무가내로 철거를 요구한다는 건 그들 스스로 억지임을 표출하는 것"이라며 "오히려 이번 기회를 통해 백악관이 소녀상의 의미와 일본군 성 노예 역사에 대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워싱턴DC를 중심으로 활동중인 시민참여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는 "구조적으로 지역정부가 정한 일을 백악관에 청원한다고 해서 결과가 뒤집히지 않는다"며 "유대인 커뮤니티 등 주류 사회 리더들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장기적으로) 주 정부 50개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목표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말했다.

구혜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