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 토론방] 새만금 간척사업 반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갯벌은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고 수산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자연학습장이고 관광지다. 경제적.미적.교육적 가치가 높은 자원이다. <wonlj>

▶새만금이 갯벌 그 자체로서의 활용 가치를 갖도록 고민해야 한다. 새만금 사업이 진행 중이라 멈출 수 없다는 논리는 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회복이 어려우니 그만 죽으라고 해야 한다는 것과 같다. 첨단 산업단지로 육성하겠다던 시화지구의 경우 관련 업체 유치가 힘들자 당초 목적과는 다른 업종의 업체가 들어서면서 환경 오염이 심각해졌다. 여건이 바뀔 때마다 목적이 뒤바뀌는 게 현실이다. <bumjinyi>

▶휴경지에 대해 보상금을 주면서까지 쌀 생산을 줄여가는 상황이다. 간척사업이 식량안보를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은 이미 의미를 상실했다. <ihlee0816>

▶네덜란드의 경우 간척사업으로 만든 땅을 갯벌로 복구하고 있다. 갯벌의 생태학적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간척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생태 관광지나 자연교육장으로 활용해야 한다. <kiak0917>

▶지금까지 투자한 돈이 아까워 중단하지 못한다는 얘기는 설득력이 없다. 더 많은 돈을 잃을 수도 있다. 환경 오염에 따른 부가비용이 더 들어갈 것을 감안할 때 공사를 중단하는 게 이익이다. <han9491>

▶공사가 진행 중인데도 동진강과 만경강 유역의 수질은 이미 나빠지고 있다. 방조제는 도로로 이용하더라도 최대한 갯벌을 살리는 대안을 생각해야 할 때다. <hkh12>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광활한 갯벌을 터전으로 살고 있는 지역민들에게 실질적인 개발의 이익이 돌아갈지도 의문이다. <guicholee>

▶한국해양연구소.한국해양수산개발원.네이처에 따르면 갯벌의 가치가 농지보다 매우 높다. 갯벌의 무한한 가치는 한번 훼손되면 영영 복원할 수 없다. <y9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