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세무 문제로 기독교계 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국 「그리스도」교계는 최근 종교 교육 문제와 세무 대책의 두 가지 문제에 관련해서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한국 「그리스도」교의 대표적 교단을 망라하고 있는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 (KNCC)가 16일 발표한 견해 표시에서도 이러한 고민은 잘 나타나 있다.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는『최근 한국 교회가 당면한 두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 밝히고 『문교부의 고등 학교 평준화 시책으로 인한 기독교 학교들의 종교 교육 문제와 새로운 세무 행정상의 처리로 말미암은 기독교 단체들의 문제들이 바로 그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교회 협의회의 견해 표명은 한국 기독교계의 당면 문제에 대한 반응을 대변하는 것이지만 이에 따른 공식 대책 결정은 19일 하오에 열린 교회 협의회 실행 위원회에서도 나오지 않았다.
이날 실행 위원회는 기독교 학교들이 겪는 고층을 해결하기 위해 기독교 학교 연맹 대표들은 각 교단 대표, 그리고 교회 원로 지도자들을 망라한 기독교 학교 대책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기독교회가 이 문제에 관련, 구체적으로 어떠한 대책을 마련할 것인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올해 들어 문교부가 고교 교육 평준화를 위해 취한 조치 때문에 생긴 파문은 심각하다.
문교부의 기독교 학교에 대한 지시는 ⓛ성경 과목을 필수 과목에서 빼서 수의 과목으로 하라 ②학우의 예배 참석을 강요하지 말라 ③입학 때 종교 교육에 응한다는 서약을 시키지 말라 ④교목을 채용하지 말라 ⑤성경 교과서의 판매를 하지 말라는 등으로 알려졌다.
기독교 학교들은 그 본래의 설립 목적인 성경 교육을 제거함으로써 교회의 건축을 목적으로 설립된 본래의 의도에 배치되는 교육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수교 장로회의 평북 노회 같은 모임에선 총회로 하여금 문교부와 협의해 줄 것을 내용으로 한 건의안을 결의하기도 했다.
또 이 문제는 일부 교인들에 의해 『문교부의 사립 학교에 대한 부당한 간섭』으로 비판되었으며 일부에선 『기독교 학교들을 각종 학교로 격하시켜서라도 종교 교육은 계속해야 한다』는 주장을 낳고 있다.
한편 세무 문제에 관련해서 각 교단과 유지 재단 대표들은 이미 조직한 기독교 세무 대책 협의회가 관계법 개정을 위해 노력하도록 하고 교회 협의회는 이에 적극 협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기독교계에선 신자들의 헌금으로 선교와 봉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교회 기관들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주장해 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