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처형 국면 안정 때까지 국정원 개혁 특위 중단해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북한의 ‘장성택 처형’ 정국이 안정될 때까지 국정원 개혁특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위원장은 20일 국회 정보위원장실에서 중앙SUNDAY와 만나 “고모부를 처형한 김정은이 내부 동요를 막기 위해 남측에 테러를 감행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김일성·김정일 사망 때보다 위험한 최고의 위기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서 위원장은 또 야당의 국정원 예산공개와 대공수사권 제한 요구에 대해서도 “국정원 정보가 유출되고 방첩능력이 줄어들 수 있어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정원 개혁특위가 발족되고 2주가 지났다. 정보위원장으로서 평가한다면.
“처음부터 특위 구성을 반대했다. 새누리당 의원들도 35명이 반대나 기권을 했다. 찬성한 의원들도 고육지책으로 표를 던진 것뿐이다. 여야 간 입장 차가 워낙 커 합의가 쉽게 이뤄지지 못할 것이다. 문제는 야당이 합의 여부를 예산통과 여부와 연계시킬 게 분명하다는 거다. 여당이 이를 의식해 합의를 서두르면 개혁안은 졸속이 될 우려가 크다.”

-구체적으로 졸속이 우려되는 부분은.
“국정원 개혁의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 국정원의 정치개입은 안 된다. 둘째, 국정원의 고유업무 기능은 강화해야 한다는 거다. 첫째는 여야 모두 공감한다. 그러나 정치개입 금지와 고유업무가 충돌하는 부분에선 이견이 크다. 나는 이럴 경우 고유업무 기능을 우선해야 하고, 절대 양보하면 안 된다고 확신한다.”

-야당은 국정원 예산을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국회선진화법을 보라. 모든 걸 합리적으로 한다고 전제하고 만들었지만 지금 부작용이 얼마나 심각한가. 여야가 지금처럼 정쟁을 계속하는 상황에서 국정원 예산을 공개했다간 국가기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 국정원 예산을 일반 정부부처 예산 공개하듯 하면 국정원의 대북 전략이나 작전상황이 유출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얘기다. 그러면 국가안보가 즉각 위태로워진다.”

-그래도 1조원이 넘는 국정원 예산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전혀 공개되지 않고 견제도 받지 않는 건 문제 아닌가.
“예산의 큰 틀은 지금도 공개하고 있다. 그리고 예산이 공개돼도 국정원 내에서 일탈행위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거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정치개입 가능성이 있는 업무영역에 대해 감시·감독을 강화하면 된다. 국정원의 업무 특성을 고려해 일단 믿고 맡기되 문제가 일어나면 엄벌해 재발을 막는 게 옳다.”

-국정원의 대공수사에 대해 초기단계부터 검찰에 지휘권을 줘야 한다는 야당의 주장은 어떻게 보나.
“국정원의 대공수사는 단순 범죄자를 잡는 게 아니다. 간첩을 잡기 위해 국정원 전문요원들이 50년 가까이 노하우를 쌓아왔다. 북한 하나만 갖고 40년 넘게 일한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의 경험과 수사권을 검찰이나 경찰에 넘겨주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또 단순히 간첩을 잡는 게 목표가 아니라 잡아들인 간첩을 통해 대북 정보망을 구축하는 게 더 중요하다. 이 또한 국정원이 아니면 할 수 없다. 대공수사권 제한은 단 1㎝도 양보할 수 없다.”

-야당의 주장을 모두 반대하는데, 그러면 특위가 굴러갈 수 있겠나.
“장성택이 처형된 지금 남북관계는 사상 최고의 위기상황이다. 그래서 나는 지금 특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성택이 숙청된 날 국정원장과 고위 간부들이 10시간이나 국회에 붙잡혀 있었다. 특위 때문이었다. 이건 제대로 된 나라가 아니다. 요즘 같은 비상시국엔 국정원이 무조건 업무에 전념하게 놔줘야 한다. 내가 이렇게 주장하니까 야당은 ‘국정원 간부들을 부르지 말고 우리끼리 특위를 진행하자’고 하더라. 그런다고 국정원 간부들이 특위에 신경을 안 쓰겠나. 국정원 전력의 40~50%가 대북업무 대신 특위 대응으로 낭비되고 있다. 한두 달쯤 특위를 중단하고 ‘장성택 정국’이 안정되면 다시 열면 된다. 이를 야당이 거부하는 건 결국 예산을 자신들 뜻대로 통과시키려는 의도인 것이다. 정쟁을 위해 국가안보쯤은 희생해도 된다는 위험한 사고다.”

-북한이 그렇게 위기상황인가?
“김정은이 고모부까지 처형하는 극단적인 상황이다. 내부 불안을 외부로 돌리려고 어떤 도발을 할지 모른다. 김일성·김정일 사망 때보다 더 위험한 상황이고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때보다 더 도발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봐야 한다. 4차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는 국제적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대신 우리를 겨냥해 사이버테러나 국지전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국정원이 이런 위험에 대비하도록 특위를 중단해야 한다.”

-국정원 정보관(IO)들의 기관 상주 제한은 어떻게 보나.
“상주 자체는 국회나 언론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일정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공수사나 방첩활동 필요성이 있을 땐 언제든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만 국정원은 개인의 사생활이나 정치정보를 캐면 안 된다. 과거처럼 각계 인사들의 평판자료를 만들어 청와대에 보고하는 건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국정원이 이런 일탈행동을 하지 못하게끔 제도를 만드는 데 여야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상사가 부당한 업무를 지시하면 부하들이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정치개입을 한 직원에 대한 처벌수위를 높여야 한다.” 

강찬호 기자 stoncold@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관련기사
▶ "국정원 개혁은 국민의 명령, 보이지 않는 손 개입…"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