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지역 무허가건물 주민 정착지 결정 안돼 연내 이주 어려울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서울시는 장마를 계기로 하천변의 상습침수지역 무허가건물 3천 동을 연내철거 이주할 방침을 세웠으나 이주단지 후보지를 아직도 결정하지 못한데다 예산마저 확보하지 못해 연내 이주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상습 침수지역의 무허가건물 등 1차로 3천 동 중 7백 동은 서울시가 연초부터 마련한 영등포구 신정동과 서대문구 신수동에 이주시키고 나머지 2천3백 동은 이번 장마 수해복구를 위한 항구작업의 하나로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아 별도로 정착단지를 만들어 이주시킬 계획이었으나 현재로서는 이주후보지 마저 결정짓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이주단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후보지가 결정되었다 해도 주택사업승인과 도시계획승인을 받은 다음 택지조성공사를 완료한 다음에야 이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절차를 밟아 공사를 착수하는 데만도 5개월의 시일이 걸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같은 형편으로는 8천여 평에 달하는 정착단지를 새로 만들어 이주시키는 데까지 연내로는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올해 안에 철거될 7백 동의 무허가 판잣집은 중랑교 하천변 무허가판잣집과 답십리 4동 일대 청계천변 무허가 판잣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