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한국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언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제공]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이 화제다. 이 혜성은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이후 태어난 것으로 추측되며, 금세기 가장 밝은 혜성이라 할 수 있다.

우주 멀리서 날아와 태양으로 향하던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은 29일 새벽 3시 48분, 초속 393km라는 가공할 속도로 태양 뒤편을 스치듯 지나갔다.

천문학계는 다음달 1일 일출 직전 동쪽 지평선 부근에서 이 혜성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눈으로도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태양의 밝기 때문에 실제 관측은 일출 후 몇 분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태양의 엄청난 열기에 꼬리 부분만 약간 남긴 채 사실상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이 아이손 혜성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는 쌍곡선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비주기 혜성인 아이손이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오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소식에 네티즌들은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놀랍다”,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실제로 본다면 어떨까?”, “45억 년 전 아이손 혜성, 어디서 보면 잘 보이려나” 등 다양한 반응을 나타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