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 ‘무설탕 식빵’, 설탕 없어 씹을수록 담백 … 현미·호두로 영양까지 담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파리바게뜨 연구진이 다년간 연구개발한 ‘무설탕 식빵’. 식빵 100g당 당 함량을 0.5g 미만까지 줄이는 공법을 적용했다. 이는 업계 최초 특허 출원되기도 했다.

지난 3월 전세계 18만 명이 탄산음료로 인해 사망했다는 내용의 미국심장협회 논문이 미국 타임지에 실렸다. 335㎖ 콜라 한 캔에만 평균 123.5kcal의 설탕 성분이 함유돼 있다는 점을 들며 미국심장협회는 남성의 하루 설탕 섭취량을 150kcal(설탕 9티스푼), 여성의 경우 100kcal(설탕 6티스푼) 이하로 규정했다.

 임경숙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설탕 섭취량은 지난 1976년 6kg에서 지난 2007년 20kg으로 31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며 “탄수화물과 다르게 설탕은 영양분이 없는 단순당으로 우리 몸에 빠르게 흡수돼 혈당을 급격하게 높이는 특성이 있다. 과도한 섭취는 자제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렇듯 당 섭취에 대한 경계가 커지는 가운데 파리크라상의 대표 브랜드 파리바게뜨가 최근 제빵업계 최초로 ‘무(無)설탕 식빵’을 선보였다. 1945년 상미당이라는 작은 빵집에서 시작해 68년 동안 제빵 한 길만을 걸어온 파리바게뜨의 ‘상미당 정신’이 이 무설탕 식빵으로 집결된 것이다.

 동종 업계에서는 “설탕 없이 빵을 만들다니 소금 없이 김치를 만든다는 소리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다. 식빵은 효모의 발효로 만들어지는데 설탕이 이 효모의 발효를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파리바게뜨는 연구진의 다년간 연구개발로 얻어낸 특수공법 혁신으로 이러한 업계의 의문을 잠재웠다. 우선 설탕의 부재로 금세 딱딱하게 굳는 빵의 노화는 반죽의 방법을 달리한 발효공법으로 제어했다. 설탕을 넣지 않아도 제조공정을 통해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당 역시 파리바게뜨의 골칫거리였는데 이 또한 연구진의 특수 발효공법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식빵 100g당 당 함량을 0.5g 미만까지 끌어내리는 데 성공했고 ‘무설탕 무당(無糖)’이라는 이름을 당당히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공법은 업계 최초 ‘무당(蕪糖)빵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로 출원되기도 했다.

 일체의 당을 배제해 자칫 밋밋할 수 있는 맛을 보완한 비법은 바로 현미와 호두. 덜어낸 단맛 자리에 무설탕 식빵은 담백하고 고소한 식빵 본연의 풍미를 채워 넣었다. 특히 토스트를 했을 때 그 매력은 제대로 드러난다.

 무설탕 식빵의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씹을수록 담백한 맛이 살아난다는 것이다. 흰 쌀밥을 연상시키는 식감 덕에 무설탕 식빵이 곧 식사를 대체할 제품으로 자리할 것이라는 게 파리바게뜨의 기대.

 평소 가족들을 위해 ‘무설탕 식빵’을 즐겨 찾는다는 주부 김혜영(39)씨는 “설탕이 들어가지 않아 담백하면서도 질리지 않는 고소하고 건강한 맛 덕분에 가족들의 간식은 물론 간단한 식사를 위해서도 자주 찾게 된다”고 말했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무설탕 식빵은 파리바게뜨가 지난 68년 동안 제빵 외길을 걸어오며 축적해온 기술력과, 아무도 가지 않는 길에도 끊임없이 도전하는 ‘상미당 정신’으로 빚어낸 결과”라며 “무설탕 식빵에 대한 소비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앞으로도 더욱 건강하고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993년 마가린을 함유한 식빵 ‘그대로 토스트’를 시작으로 함평 친환경 쌀로 만든 ‘엄마가 미(米)는 우리쌀 식빵’, 엄선된 원료와 56시간 저온숙성으로 완성된 ‘먹으면 먹을수록 순수秀담백’ 등 혁신적인 제품을 잇따라 선보이며 식빵 트렌드를 선도해왔다.

박지혜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