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농업보조금 퍼주기 없다 … 환경·위생 개혁 대가로 지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한·EU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5억 명의 유럽 소비자 시장이 한국 농민과 식품기업에 열렸다. EU 소비자는 새로운 식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개방적이라 한국이 충분히 노려볼 만하다.”

 유럽 식품을 알리기 위해 방한한 다치안 치올로슈(44·사진) 유럽연합(EU) 농업집행위원장은 최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중앙일보·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유럽 식품회사와 생산자로 구성된 70여 명의 비즈니스 대표단을 이끌고 왔다. 그는 “유럽의 고부가가치·기술기반 식품업체가 한국 농업이나 식품산업에 투자할 일도 앞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치올로슈 농업집행위원장은 EU 전체의 농업 정책을 총괄하는 인물로 유럽 농림부 장관에 해당한다. 프랑스·영국·벨기에 등 EU 소속 28개국 농림부 장관이 그가 정한 정책들을 집행한다. 농업 보조금 등 농업 개혁 예산도 EU 예산에서 각 국가에 배분하고 있다. 그는 “EU가 농민에게 보조금을 많이 준다고 알고 있는데 이는 오해”라며 “EU 국내총생산(GDP)의 0.7%만 농업 보조금에 들어가는데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하면 극히 적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보조금을 절대 그냥 주지 않는다”며 “환경과 위생, 동물 복지에 관해 매우 높은 수준의 개혁을 농민들에게 요구하고, 그 대가로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7~8년마다 농업 개혁 로드맵을 다시 짠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런 개혁 로드맵은 농민들의 장기 경쟁력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부터 7년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율 영농과 과학 영농을 위해 연구개발(R&D)에만 4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치올로슈 집행위원장은 “EU 농산품과 식품의 강점은 다양성”이라고 강조했다. EU는 고품질·유기농 제품임을 보증하기 위해 인증 로고(GI)를 붙이는 작업도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EU 농산품은 고부가가치화와 전통·스토리를 입힌 농산물과 식품에 치중하고 있다”며 “유럽 진출을 노리는 한국 식품업체와 농민들도 이런 전략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