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공황장애 바로알기 건강강좌 개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삼성서울병원(원장 송재훈)은 오는 20일 본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공황장애와 생체주기와 관련된 기분장애’를 주제로 건강교실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범희 교수, 홍경수 교수가 참여해 각각 공황장애와 생체주기와 관련된 기분장애의 진단 및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강연한다.

공황장애는 극심한 불안 증상과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과 관련되는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불안이 너무 심해서 거의 죽을 것 같은 공포심이 겪는다. 이를 공황발작이라 한다. 공황장애의 발병에는 대뇌 편도핵이나 청반의 이상이 관련되며, 유전적인 소인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공황장애는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부정맥, 메니에르병 같은 다른 질병으로 오진되기도 한다. 일시적인 혈압상승이나 과호흡증 이외에 특별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으며, 대개 별다른 처치를 안 해도 1-2 시간 이내에 저절로 증상이 호전된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사람이 많은 백화점이나 지하철역 같은 장소에 가면 심한 공포를 경험하며, 언제 증상이 다시 나타날지 몰라 불안해지는 예기불안도 자주 보인다. 이 때문에 차가 많이 막히는 길을 가거나, 긴 터널을 지나거나, 기차나 비행기처럼 도중에 내리기 힘든 상황을 피하려고 한다.

공황장애는 남성보다 여성이 2배 이상 많다. 과로·음주로 공황장애가 생길 수 있다. 카페인음료를 과다섭취하면 공황장애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이번 강연은 공황장애와 생체주기와 관련된 기분장애(양극성장애)에 대한 다양한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여 환자 및 가족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예정이다. 건강교실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사전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인기기사]

·제1회 헬스케어 빅데이터 컨퍼런스 [2013/11/19] 
·"일자리 창출 위해 카이로프랙틱 합법화? 말도 안돼" [2013/11/19] 
·라식 전 ‘아벨리노’ 진단, 전 세계로 확대되나 [2013/11/19] 
·한국애브비 유홍기 대표 ‘제 27회 약의 날’ 국무총리 표창 [2013/11/19] 
·"시범사업도 안 된 원격의료, 도입 전면 재검토해야" [2013/11/19] 

권선미 기자 byjun3005@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