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놓기 바쁘게 매진 싸리비 한 개 7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유엔」에서 일어난 중공 「붐」 은 미국 백화점에까지도 밀어닥쳤다. 연말과「크리스마스」경기로 흥청거리기 시작한「뉴욕」의 백화점 가에서는 최근 중공「붐」이 한창이다. 빗자루(비) ,착빗, 밥 그릇, 접시, 죄수복을 연상케하는 무명옷….어느모로 봐도 부자가 탐낼것이 못 되는 허름한 물건을 놓고서 서로 사지 못해 야단들인 것이다.
「밍크· 코트」를 걸친 금발의 미인들이 무명 저고리 때문에 아우성치는 것은 그저 호기심 때문.그도 그럴 것이 미국인들이 중공상품을 구경하는 것은 꼭 10년 만인 것이다.말하자면 쓸모 따위는 아예 안중에도 없고 동학나라에서 가져온 구경거리를 사는 기분으로 너도나도 극성을 떠는 셈.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으면 값이 뛰는 게 당연한 이치.「중공제」라는 장묘만 붙으면 가격표는 금방 정신을 잃어버린다.『싸리비」7「달러」50「센트』 이건「뉴욕」,중심가에 있는 어느 백화점의 광고표지.백화점 측도 7「달러」50「센트」(한대 약2천7백원) 에는 『좀 심했다』 는 생각이 들었던지 약간의 주석을 달아뒀다.
정가표 바로 옆에 붉은 글씨의 팻말을 써 붙여서 가로되.『이 빗자루는 모택동의
출생지에서 꺾은 나무로 만든 것 임.』
이 설명서가 주요 했음 인지는 몰라도 빗자루들은「분명히 빗자루의 정가보다 더 비싼 고급 포장지에 싸여서 삽시간에 매진되었다.점원양의 표현을 빌면 뉴요크 시내의 진공 소제기가 모두 고장난 것처럼 정신없이 팔리더라』는 것.
이런 기현상은 비단 빗자루 에서만 일어난 것은 아니다.대나무로 만든 장바구니 지우산등「메트러폴리턴」박물관의 「미국초기생활관」 에 진열된 것과 똑같은 전 시대적 유물들이 날개 돋친 듯이 나가고 있다.
구매자들이 너무 야단스럽게 구니까 한 백화점에서는「중공제품 특별 취급 주간」을 설정,주로 죽세공품을 다룬 적이 있다. 그러나 「특별취급주간」계획은 실패하고 말았다. 하루사이에 모두 바닥이 나 버렸기 때문이다.
중공측도 미국인들의 이러한 심리를 십분 이용하는 듯이 보인다.예컨대 도자기나 목제 조각품 등에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한자를 써넣어서 한눈에 중공제 임을 알수있도록 한다.
그러나 미국인들의 호기심을 이용해서 가장 「히트」를 친 것은 『길들인 귀뚜라미』.귀뚜라미를 잡아서 밀짚으로 만든 집속에 넣은 것인데『길들였다』는 것은 중국식의 허풍에 지나지 않는다.
하나「뉴요크」시민들이『길들인 귀뚜라미』와『길 안들인 귀뚜라미』 를 구별할 리 만무해 가지면 울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보고서는『이렇게 길들이기까지 얼마나 정성을 들였을 것인가』하고 감탄할 따름이다.
이와 비슷한「케이스」가 무명으로 만든 노동복.미국인들은 서부개척당시 바로 이웃을 입었던「쿨리」들이 수 만명씩 건너와서 철도 노동자로 일했었다는 사실을 까맣게 잊은 듯이『원더풀』을 연발한다.
고급 양장점들이 밀집해 있는「뉴요크」번화가에는 유명한 중국비단이 한참 기세를 떨치고 있는 것이다.
한데 여기서는 또 다른 의미에서 기현상을 빚고있다.『중공제』라는 상표로 한 몫보는 백화점 에서 와는 달리 대개「이탈리아」제나「프랑스」산으로 둔갑하는 것이다.이유는 간단하다.부잣집 마나님들은 공산주의 국가라면 무조건 이를 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선풍적인기에는 중공자신도 약간 얼떨떨한 표정.그러나「달러」맛은 몹시 마음에 들었던지「신용주위」「염가봉사」를 선전하느라고 은근히 애쓰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