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원가계산도 명확히 못 밝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11월에 접어들자마자 서울에서 한차례 연만 파동을 겪었다. 서울의 연탄생산업자들이 지난1일 가정용 22공만의 생산가격(공장도가격)을 1개당 1원씩 기습인상함으로써 각 소매상에서는 20원씩 받아오던 판매가격을 20원에서 23원까지 일제히 올려받았다. 이번 파동은 서올시 당국의 설득으로「메이커」들이 종전가격으로 환원함으로써 사흘만에 가라 앉았으나 업자들은 내년 1월초에 공장도 가격을 1원50원씩 인상해 주겠다는 약속을 받고 물러선 것이어서 사실상 연말까지 2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가졌다는것 밖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결국 서민용 연료인 연탄값은 업자들의 요구대로 오르고 말 전망이다.
생산업자들이 11월1일을 기해 공장도 가격을 기습 인상한것은 연탄가격이 인상된다가 지난 10월말로 인상전의 값으로 사서 쌓아두었던 연탄이 모두 소비되어 11월 부터는 인상된 값으로 연탄을 사들여 가정용 22공탄을 생산하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업자들은 22공탄 1개의 원가계산은 23원20전으로 현재의 공장도 가격 20원으로는 도저히 운영이 안된다는 것이다.
원가계산 내용을보면 22꽁탄 1개의 원료비가 23원20전, 느무비56전,관리비 1원전, 일반경비, 영업의비용 45전 등으로생산하는데만 먹히고 여기에 이윤 86전을 붙여 20전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들의 주장대로 한다면 공강도 가격을 1원올린 21원에 팔아서는 이익은 커녕 1개를 생산함으로써 오히려 적자를 내게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공장도 가격이 1개당 18원인상이 되어야 한다면서 17원씩 1원을 올리려던 당초의 계산은 모순에 빠지게 된다.
자유가격이 아닌 합정요금이나「택시」「버스」요금감은 관허요금을 들먹일 때마다 원가계산이 항상 문제가 된다.
인상하겠다는 측의 계산은 적자투성이로 되어있고 이를 막으려는 당국은 막연히『이유없다』고 거부, 마찰을 일으키는 실정이다.
이번 연탄의 경우만해도 당국은 업자들의 원가계산을 자신있게 부정하지 못한채 이해와 설득으로 가격환원을 종용하고 급기야는 내년초에 인상허가 하겠다는 조건이 타협이었다.
서울시 당국은 행정력을 동원하여 강력히 가격단속을 실시하지못한 까닭을 생산업자들이 일제히 생산중지할때의 더 큰 파동을 염려해서였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근본원인은 서울시가 자신있는 원가계산을 못한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외부연구기관에 의뢰하여 매년 22공탄의 생산원가 계산을해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도 이를 분명히 밝히지 못하는 것을 보면 서울시의 계산상「미스」가 아니면 업자들의 주장을 타당성 있는것으로 인정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이번 파동의 원인이「메이커」들의 공장도 가격인상에 있었던 점을 감안하여 이들의 주장대로 연탄가격 이사과 맞추어 그동안 연탄가격인상 폭을 비교하면 업자들의 주장이 전혀 근거가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22공탄값과 아울러 연탄값이 지난8월 인상됐다. 반면 지난해 9월에 가격으로 묶인 구공탄의 공장도 가격은 연탄가격인장상따라 원으로되었다가 한달후인 9월에 16원이되어 지금까지 계속 되었다. 당국과 합의된 가격은 아니라해도 당국이 추석물가 단속을 공장도 20원, 가정도 20원으로 잡았기 때문에 작점적으로 승인해 준 것이었다.
결국 연탄값 15%인상에따라「메이커」들은 생산가격을 14원에서 22원로 10·3%나 인상했다. 거의 같은 폭으로 인상되었고 「검이 있다면 1%남짓, -4전미만이다. 다시말해 원탄값이 10%인상되었으니 22공탄의 생산가격은 10·4%올리겠다는 중장이었다고도 볼 수있다.
서울시가 업자들의 기습인상 파동을 이틀만에 매듭짓기위해 제시한 조건은 내년도에 공장도 가격을 l원50전 인상, 1원50전에 해주겠다는것으로 알려졌다. 공장도 가격이 200원에서 22원이 될 경우 판매가격은 20원에서 22원선이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부산·대구등 지방 대도시는 물론 전국적으로 가정용 연탄값은 일제히 오르는 결과라는 계산이다.
상공부집계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전국의 연탄은 1천2백39만4천t생산에 1천1백83만1천t을 소비했다. 금년에는 1천3백50만t생산에 작년이월연탄을포함,1천5백n만5천t을공급할 수 있으며 소비량은 1천3백40만t으로 잡고있다.
1백 63만 5천t이 남는다는 수급계획이다.
이 같은 소용량 판단은 수급계획상 아무런 차질이 없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소비자들이 직접부딪혀야 할 가격문제만은 언제 다시 터질지모를 불씨를 안고있는 셈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