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 “중소 방송사 고사 우려” 지상파 중간광고 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상파 방송사가 요구하고 있는 중간광고 도입에 대해 새누리당 의원들이 제동을 걸었다. 1일 방송통신위원회를 대상으로 한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다.

 새누리당 권은희 의원은 “지상파 3사가 광고시장의 72%를 차지하고 있고 광고판매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87%의 시청자가 반대하는 중간광고는 독(毒)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에 중간광고를 허용하면 중소 규모의 방송사를 고사시킬 거란 주장이다. 같은 당 이상일 의원도 “방통위의 명확한 입장이 없어 쓸데없는 추측이 나온다”며 “(중간광고에 대해) 분명히 쐐기를 박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재 방통위원장은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광고 시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지만 중간광고는 결론이 나지 않았다”며 “연말까지 종합안을 마련하고 국회 공청회도 수용하겠다”고 했다.

 KBS 수신료 인상에 대해선 정파를 떠난 결단을 촉구했다. 새누리당 남경필 의원은 “이 위원장도 야당 의원 시절엔 ‘지상파를 나팔수’라며 수신료 인상에 반대했다”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쳇바퀴 돌듯 반복되는 논란을 종식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신료가 현실화되지 않으면 KBS1의 광고금지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조해진 의원)거나 “찬반 투표를 해서라도 결단해야 한다”(이우현 의원)는 의견도 나왔다. 이 위원장은 “공영방송의 역할을 위해선 재원을 수신료로 운영하는 게 기본정신”이라며 “공영방송엔 광고가 없는 게 맞다”고 답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채널A의 자본금 형성 과정에서 불거진 우회·차명 투자 의혹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할 수 있다는 입장을 처음으로 밝혔다. “채널A가 ‘우린테크’에서 30억원을 출자받는 과정에 상법을 위반한 사실이 확인돼 채널A의 법인 설립 자체가 무효”(민주당 최민희 의원)라는 주장에 대해 이 위원장은 “의혹이 사실이라면 검찰에 수사 의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일부 종편사의 과도한 보도 편성에 대해선 “재승인 심사에서 종합적으로 점수화해 분명히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강태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